↑ 북한 소형 어선 예인 장면 /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
군 당국은 북한 어선 1척이 지난 15일 강원도 삼척항 인근에서 발견된 경위를 자체로 조사해 일부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냈습니다.
합동참모본부 김준락 공보실장은 오늘(17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군의 자체 조사 사실을 밝힌 뒤 "조사 결과, 전반적인 해상·해안 경계작전에는 문제가 없었다"면서 "다만, 소형 목선은 일부 탐지가 제한되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실장은 "향후 우리 군은 보완대책을 강구하여 확고한 경계 및 감시태세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북한 어선이 발견된 지난 15일부터 동해안 경계를 맡은 관련 부대에 대한 조사를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군의 해안감시레이더 운용시스템 및 운용 요원의 일부 보완 요소를 식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군 당국은 해안감시레이더의 성능개량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해안감시레이더 감시 요원 확충 등의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 어선 발견 당시 우리 군의 해안감시레이더에 미세하게 포착이 됐다"면서 "그러나 우리 감시요원들은 당시 파도가 일으키는 반사파로 인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어선 발견 당시 동해상의 파고는 1.5∼2m였고, 북한 어선은 높이 1.3m, 폭 2.5m, 길이 10m였습니다.
합참 관계자는 "선박의 높이가 파고보다 낮아 레이더 감시요원들이 파도로 인한 반사파로 인식했다"면서 "당시 레이더 감시 요원들은 최선을 다했고, 특별한 근무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레이더 감시 요원들은 레이더상에 희미한 표적을 발견했으나, 그것이 정지된 표적이어서 특정한 표적인지를 인지하지 못했다"면서 "만약 빨리 움직이는 표적이었다면 식별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군이 남측 해상에서 표류하는 북한 소형 선박을 2002년과 2009년 두 차례 식별하지 못한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올해에만 북한이 어선이 60여 차례 NLL을 넘어왔고, 오늘도 3척이 발견되어 퇴거 조처를 했다"면서 "2002년과 2009년 두 차례는 식별하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합참 관계자는 "적이 우리측 해상으로 들어오면 100% 잡아낸다"면서 "어선의 미세한 흔적을 포착했던 해안레이더는 수명 주기가 지났기 때문에 성능을 개량할 계획이며, 해안레이더의 사각지대와 음영지대가 없도록 레이더 중첩구역을 최적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어민 4명이 탄 북한 어선 1척은 15일 오전 6시 50분쯤 삼척항 인근 바다에서 조업 중이던 우리 어선에 발견돼 관계 당국에 신고됐으며, 해군도 이런 사실을 해경 등을 통해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습
이 어선은 어업 중 기관 고장으로 동해 북방한계선(NLL) 이남까지 표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동해 NLL에서 삼척 앞바다까지는 직선거리로 대략 130여㎞에 달합니다. 이에 군경의 해안감시체계에 큰 허점이 뚫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관계 당국의 합동심문 과정에서 일부 북한 어민은 귀순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