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목의 종자생산 공급원인 채종원(採種園.Seed orchard)의 면적을 오는 2030년까지 500ha로 늘린다.
또 지역별로 특색있는 맞춤형 나무를 심고 키우면서 씨앗시장 건전화를 위한 유통단속에도 나선다.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는 우수종자 공급을 위해 이같은 내용의 '주요 조림수종 종자생산 활성화' 방안을 수립했다고 28일 밝혔다.
활성화방안은 ▲2030년까지 채종원 면적 1500ha로 확대 ▲지역별 맞춤형 수종 조성 ▲채종원 관리를 통한 씨앗 생산량 늘리기 ▲결실주기와 풍년과 흉년에 대비한 씨앗 모아두기 ▲씨앗시장 건전화를 위한 유통단속 ▲북한 산림복구용 종자관리계획 마련 등이다.
산림청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2만㏊면적의 조림을 위해 매년 40t의 종자를 생산했다. 앞으로 목재생산 증가로 조림면적과 이에 따른 종자 수요도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종자에 비해 채종원산 종자는 우수한 산림을 조성할 수 있어 종자생산량 증대와 채종원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게 산림청의 설명이다.
현재 채종원은 춘천, 강릉, 태안, 충주, 수원, 제주 지역에 760㏊조성돼 있다. 산림청은 이를 오는 2030년까지 2배로 늘린 뒤 이후 2500㏊까지 확대해 채종원산 종자 공급률을 80%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연평균 50㏊씩 남부와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채종원을 조성하고, 수종은 지역별 특색에 맞춰 활엽수 위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해 새로 조성하는 전북 고창 채종원은 온대남부지역의 대표 수종인 편백으로 조성된다. 또한 종자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전국 채종원 실태조사를 벌여 결실이 불량한 채종원에 대해선 집중관리하고, 개선이 어려울 경우 폐지 혹은 갱신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산림종자를 앞으로 3~4년간 공급에 지장 없도록 '종자비축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키로 했다. 이렇게 되면 최소 150t이상의 종자를 비축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산림청은 분석했다. 종자 저장이 불가능한 수종은 묘목으로, 묘목으로도 어려운 수종은 '초저온 클론 저장기술'을 이용 할 계획이다.
통일을 대비해 저장중인 북한산림복구용 종자는 싸리, 오리나무 등 사방수종에서 북한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경제수, 유실수 종자로 그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현재의 15종 약 12t에서 20여 종 약 30t 규모로 확대 저장할 계획이다. 특히 새로 구축할 종자비축시스템을 북
이상인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은 "조림수종 종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면서 "산주 등 국민이 원하는 최고의 산림종자를 만들어 필요시 쉽고 빠르게 공급받을 수 있는 종자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조한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