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남성과 여성근로자의 임금 격차가 줄어들고는 있지만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선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준 국회입법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실 환경노동팀장은 9일 '임금격차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기준 OECD통계에 따르면 남녀 전일제근로자 임금 중위값의 격차는 각국 남성 전일제 근로자 임금 중위값이 100일 때 지난 2010년 기준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는 39.0%라고 밝혔다. 자료가 있는 주요 25개국 중 1위다.
한국에 이어 일본이 28.7%로 2위를 차지했지만 한국과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일본에 이어 3위는 핀란드(21.2%), 4위는 네덜란드(20.5%), 5위는 터키(20.1%)로 20%를 넘어 상위권을 차지했다.
영국과 미국이 각각 19.2%, 18.8%로 뒤를 이었고 독일은 16.8%, 프랑스는 14.1%, 호주는 14.0%였다.
조사대상국 중 남성과 여성의 임금격차가 가장 작은 곳은 헝가리로 임금 격차는 3.9%에 그쳤다.
이와 별도로 고용노동부의 조사에 따르면 시간당 정액 급여를 기준으로 지난해 한국의 여성 임금은 남성 임금의 68.2%에 해당해 성별 임금격차는 31.8%로 계산됐다.
해당 격차는 지난 2006년 35.7%에 달했으나 지난해엔 31.8%까지 줄어드는 등 성별 임금격차는 하락하는 추세다.
월 급여를 기준으로 봐도 성별 격차는 지난 2006년 38.5%에서 작년 36.0%로 낮아졌다.
성별뿐 아니라 고용형태별로도 차이가 났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시간당 정액 급여 측면에서 다소 개선됐지만 월급여를 기준으로는 다소 악화됐다.
직종별로는 지난해 단순노무직 대비 관리자, 사무직, 서비스직 등의 임금 격차가 지난 2009년보다 커졌다.
기업 규모별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지난 2008년보다 다소
김 팀장은 "임금격차 가운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성별과 고용형태에 따른 임금격차"라며 "성별 임금격차를 없애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일자리 복귀를 지원하는 입법·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