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생의 인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실', '자기조절', '지혜' 등의 덕목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자신을 바로 세우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중학생의 인성 수준이 가장 떨어져 이른바 '중2병'이 실재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생들의 인성은 개인의 소양뿐 아니라 행복감, 부모와 관계, 학교 분위기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 기초생활습관 결여로 성실, 자기조절 능력 부족 = 19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초·중·고등학생 4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성검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학생은 인성 덕목 10가지 가운데 '성실'(6.61)과 '자기조절'(7.10), '지혜'(7.18)에서 점수가 낮았다.
해당 점수는 5점 척도를 10점 만점으로 환산(2: 전혀 아니다, 4: 약간 아니다, 6: 보통이다, 8: 약간 그렇다 10: 매우 그렇다)한 것으로 이 세 덕목은 보통을 갓 넘은 수준에 불과했다.
성실 덕목은 '오늘 해야 할 일을 다음으로 미루지 않는다', '계획을 세운 것을 잘 지킨다', '하던 일을 중간에 그만두지 않는다' 등 8개 문항을, 자기조절은 '짜증이 나더라도 내 감정을 잘 조절할 수 있다', '화가 나더라도 다른 사람들에게 화풀이를 하지 않는다' 등 6개 문항을 측정해 결과를 산출했다.
지혜 덕목은 '어떤 일이든지 장단점을 고루 살핀다', '무언가를 결정할 때 시간을 갖고 충분히 생각한다' 등 6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이 세 덕목은 초·중·고교 등 학교급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가장 낮았다.
자기조절 능력의 부족은 자칫 학교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해당 덕목을 배양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KEDI는 자기자신을 바로 세우는 것과 관련된 덕목에서 상대적으로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것은 '기초생활습관 결여'와 관련된 것으로 풀이했다.
KEDI는 인성검사 결과 보고서에서 "이들 덕목은 어린 시기에 체득되지 않으면 상급학년에서도 여전히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자기조절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데 기본이 되는 자질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 덕목이 낮게 나온 것은 매우 신중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중2병' 해결 위해 정체성 확립 교육 필요 = 10개 덕목의 점수를 합산한 결과를 보면 중학생이 72.83으로 초등학생(78.12)과 큰 차이가 나고 고등학생(73.38)보다도 떨어진다.
특히 중학생은 자기존중, 성실을 제외한 8개 덕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KEDI는 중학생의 인성 수준이 가장 낮은 것은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이 시기의 특수성과 관련해 설명했다.
급격한 신체적 변화를 겪으면서 인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초등학교와 질적으로 다른 발달 양상을 보이면서 많은 고민과 갈등을 경험하는 시기가 중학교 때라는 것이다.
또 '중2병'이라는 용어가 있듯이 이 시기에는 자기 관념에 지나치게 빠져 자신만 옳다고 생각하고 자신과 타인을 균형 있게 고려하기 힘든 '자아중심성'을 보이기도 한다고 KEDI는 설명했다.
KEDI는 "우리나라에서 중학생은 정체성 혼미 및 정서적 혼동을 겪는 시기"라면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정체성 확립과 청소년기 자아중심성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학생 인성 학교교육 통해 높아져…성적 좋을수록 인성도 좋아 = 학생들의 인성 수준에는 부모자녀관계, 교사학생관계, 행복감 등의 요인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DI는 인성검사와 함께 '부모님이 내 이야기를 늘 주의 깊게 들어주신다', '우리 학교 학생들은 선생님들과 친밀하게 지낸다', '나는 내 삶에 만족한다' 등 인성 수준에 관련된 변인도 함께 조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변인과 인성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만족도의 회귀계수가 2.64, 부모자녀관계 1.80, 교사학생관계 2.41로 나왔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1점 높을수록 인성 점수가 2.64점 오른다는 의미다.
초등학생의 인성 수준이 중·고등학생보다 높은 것은 바로 이런 변인의 영향 때문이라고 KEDI는 설명했다.
즉 이런 변인들이 초·중·고등학생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인성 수준은 오히려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생 순으로 순위가 역전된다는 것이다.
초등학생에서는 가정에서의 인성 강조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학교에서 인성강조의 회귀계수가 2.77로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인성교육을 잘하는 학교일수록 전반적으로 학생의 인성 수준이 높다는 의미다.
이는 학교교육을 통해 학생의 인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KEDI는 풀이했다.
중학생에서는 부모자녀관계의 회귀계수(1.84)가, 고등학생은 학업성취도(1.22)가 상대적으로 높아 중학생은 부모자녀 관계의 영향이, 고등학생은 학업 성적이 인성과 연관성이 컸다.
특히 전체 인성검사에서 학업 성취도와 학업 스트레스와 인성 수준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 성취도와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성 수준이 높다는 의미로 성적이
KEDI는 보고서에서 "성취도가 높을수록 인성 수준도 높아지는 것은 중·고등학생의 경우 적절한 수준의 학업스트레스가 인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