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MBN |
'기준금리 동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7일 기준금리를 연 2.0%로 동결한 것은 시장과 전문가들의 예상에서 벗어나지 않은 것입니다.
한은은 지금의 금리 수준이 경제 성장세를 지원하기에 부족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보고, 지난해 두 차례 단행한 금리 인하의 효과를 살피고 있습니다.
섣불리 금리를 추가로 내리면 저금리와 부동산금융 규제 완화로 급증세를 보인 가계부채가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계부채나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을 걱정하기보다 금리를 더 내려 예상보다 부진한 경기부터 살려야 한다는 의견이 만만치 않습니다.
최근에는 아시아 국가들이 금리 인하 등 적극적 통화완화 정책을 펼치자 한국도 여기에 동참해야 피해를 보지 않는다는 압박 또한 강해졌습니다.
한은은 지난달에도 금통위 의사록을 통해 올해 국내 경제가 전망치(연 3.4%)대로 성장한다면 단기적으로는 가계부채의 부작용이 경기 하방 위험보다 더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금리 인하를 우회적으로 압박하던 정부도 단기적 경기 부양보다는 구조개혁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금통위를 앞두고 진행한 한국금융투자협회의 설문조사에서 채권 전문가의 91%가 기준금리 동결을 점친 이유입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 결정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거시경제의 상·하방 위험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가계부채의 높은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도 금리 동결의 배경"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금리 결정의 주요 변수로 꼽히는 가계부채는 작년 1∼7월만 해도 월평균 3조4천억원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작년 8월 초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를 기점으로 증가 속도가 두 배로 빨라졌다. 작년 8∼11월 가계대출은 월평균 6조8천억원 늘었습니다.
정부가 연 1%대 저금리의 수익공유형 주택대출을 도입한 상황에서 금리가 추가 인하되면 가계부채가
게다가 시장 예상대로 올해 6월께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지금의 저금리 기조를 돌릴 수밖에 없는 외부 압력이 생깁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자본 유출을 막는 차원에서 미국보다 1∼2% 포인트 정도 높게 금리를 유지해왔습니다.
'기준금리 동결' '기준금리 동결' '기준금리 동결' '기준금리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