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진드기 사람간 전파 국내 첫 확인…예방법은?
↑ 사진=MBN |
야생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돌보던 대학병원의 의사와 간호사들이 이 바이러스에 2차 감염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2차 감염 사고가 난 사실을 파악하고도 이를 공개하지 않아 감추려한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습니다. SFTS 바이러스의 의료진 감염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세계 처음으로, 국내외에서 야생진드기에 대한 경각심이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25일 보건당국과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3일 서울의 S 종합병원 응급실에 한 여성(당시 68세)이 위독한 채로 실려왔습니다. 이 여성은 패혈증이 의심돼 경기도의 한 병원에서 입원 치료중 의식이 떨어지고 상태가 악화하자 이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이 환자는 응급실로 온 지 하루만인 2014년 9월4일 새벽 급격하게 상태가 나빠져 의료진이 심폐소생술을 거듭했지만 끝내 숨을 거뒀습니다.
환자에 대한 혈청 분석결과는 사망 14일후인 지난해 9월18일에 나왔는데, SFTS 바이러스에 감염돼 숨진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숨진 환자와 접촉했던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진 일부도 발열과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여 혈청검사를 한 결과, 4명이 SFTS 바이러스에 2차 감염된 것으로 확진됐습니다. 4명의 의료진은 전공의를 포함한 의사 2명과 간호사 2명이었습니다.
해당 병원측은 의식을 잃은 환자에게 의료진이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신체분비물에 의해 2차 감염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다행히 2차 감염된 의료진들은 모두 치료 후 완치 판정을 받았지만, SFTS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했던 전공의는 발열, 혈소판 감소 등의 중증 증상으로 감염내과에서 1주일간 입원 치료를 받아야 했습니다.
SFTS는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환으로, 2013년국내 치사율은 47.2%에 달했습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1~2주의 잠복기이후 감기 증상과 비슷하게 열이 나거나 근육통을 앓습니다. 이후 설사가 나거나 근육통이 심해지고, 심지어는 의식이 떨어지는 뇌 증상을 보이다가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면서 사망합니다.
그동안 이 바이러스는 진드기에 물려야만 감염되는 것으로 인식돼왔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야생진드기 바이러스가 유행할 당시에도 보건당국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을 뿐이며, 감염 환자와의 접촉에 의한 2차 감염에는 주의를 주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우에서 알 수 있듯, 이 바이러스는 사람 간에도 전파되는 것으로드러나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질병관리본부 홍보자료 등에는 SFTS의 치사율이 6%로 돼 있음에도 국내 사망률이 40%를 웃도는 만큼 대책을 좀더 면밀하게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예방수칙 등에 언급조차 되지 않은 사람 간 감염이 확인되
의료계 한 인사는 "질병의 실체를 모르면 공포도 커지게 된다"며 "보건 당국이 국내 SFTS 사망률이 높은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사람 간 감염 가능성을 고려해 예방수칙을 만드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