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원대 예산을 쏟아부어 건립한 세종정부청사에 크고 작은 하자가 잇따라 올해 여름은 보수 공사 일색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2~4년내 시공사들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이 끝나면 하자보수비용은 고스란히 혈세로 조달할 수 밖에 없어 시공 단계에서의 책임있는 관리감독이 부족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6일 정부청사관리소가 국회 정무위원회 유의동 의원(새누리·평택을)에게 제출한 ‘하자보수공사 실시 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세종청사에서 386건의 하자보수가 이뤄졌다.
하자 유형은 균열 223건, 소방 115건, 전기 30건, 누수 13건, 기계 3건, 통신 2건이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기획재정부, 농림부, 해수부, 국토부, 환경부 등 가장 많은 부처가 입주해 있는 1단계 2구역(포스코건설)에서는 바닥과 벽체 균열만 182건, 누수 6건이 발생했다.
지난 8월엔 기획재정부 대변인실의 천장 판넬이 바닥으로 떨어졌고, 국무조정실 외벽에도 균열이 발생해 균열보수 주사기가 줄을 지어 설치되기도 했다.
계룡건설과 삼성물산이 총괄한 1단계 1구역(총리실)에서는 바닥표면 미세균열(0.1~1.5mm) 13건, 벽체 표면 미세균열 11건, 누수 7건, 조명기구 점등불량 등 전기분야 4건, 발전기실 사이렌 동작불량 등 소방분야 10건이 하자로 발견됐다.
복지부와 노동부, 보훈처가 입주한 2단계 1구역(GS건설)과 교육부, 문화부, 산자부가 입주한 2구역(대림산업)에서도 미세균열, 누수, 점등이상, 배수관 배수 이상 등의 하자가 발견됐다.
3단계 1구역(법제처,권익위,우정사업본부)과 2구역(국세청, KTV)에 대한 하자검사 용역도 마무리돼 하자 건수는 이보다 더 늘어날 전망이다.
발견된 하자에 대해 해당 시공사들은 지난 5월부터 이달까지 무료로 보수 공사를 실시했
유의동 의원은 “세종청사에 1조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들이고도 하자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것은 국가적 망신”이라면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상징에 걸맞는 유지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