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첫 결빙, 결빙 기준 보니? 관측 110년 역사를 한눈에
↑ 한강 첫 결빙/사진=연합뉴스 |
24절기의 마지막 절기 '대한'인 21일 강추위로 한강이 올겨울에 처음 얼어붙었습니다.
결빙은 '얼음으로 인해 강물을 완전히 볼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얼음 두께와는 무관합니다. 가장자리가 어는 것도 결빙 '판정'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결빙 기준 관측지점은 한강대교입니다. 정확히는 한강대교 노량진 방향 2번째와 4번째 교각 사이입니다.
상류 쪽으로 100m 부근의 남북 간 띠 모양 지점이 얼었는지에 따라 결빙 여부를 판정합니다.
이 지점은 유속이 빨라 한강에서 가장 늦게 얼어붙는 곳 중의 하나다. 노량진 나루 쪽에서 가장 가까우면서도 손쉽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기상청의 모태가 된 '경성측후소'는 관측 시작 2년 전인 1904년 서울 종로구 송월동에 자리잡았습니다. 측후소와 가까운 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의 공식 설명은 1906년 당시 노량진 나루가 한강의 주요 나루 가운데 하나였으며, 관측의 접근성이 용이했기 때문에 이 지역이 기준점으로 지정됐다는 것입니다.
근대적 의미의 기상관측 역사는 1880년대 전후로 추정됩니다. 일본은 1884년 부산전신국에서 기상 관측을 시작했습니다.
경성측후소를 비롯해 각지에 측후소가 세워졌고 바다 건너 제주도에는 1923년에 측후소가 설치됐다. 측후소는 이후 기상대를 거쳐 기상청으로 격상됐습니다.
한강 결빙은 온난화 등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영향을 받아 과거와 양상이 조금씩 달라졌습니다.
1950년대까지는 주로 12월에 한강이 결빙됐으나 이후에는 결빙 시점이 1월이거나 아
기상청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한강이 1월 3일 결빙됐지만 살얼음 형태로 얇게 얼어붙었다가 당일 녹았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