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 9.5%, 16년 만에 최고치…1월 취업자 작년 동기보다 33만9천명 증가
↑ 청년실업률 9.5%/ 사진=연합뉴스 |
청년(15~29세) 실업률이 올 1월 기준으로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말 50만명에 육박했던 취업자 수 증가폭은 다시 30만 명대로 내려앉았습니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취업자 수는 2천544만5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3만9천명 증가했습니다.
작년 11월 20만 명대로 떨어졌던 월간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12월 49만5천명 늘며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지만 1월 들어 지난해 연간 수준(33만7천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둔화했을 뿐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등 주요 고용지표는 일제히 개선세를 보였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1.1%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고용률은 58.8%로 0.1%포인트 늘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2%로 0.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도 41.7%로 작년 같은 달보다 0.4%포인트 올라갔습니다.
전체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월별로 따진 실업률은 작년 7월(3.7%) 이후 6개월 만에 최고치이나, 겨울철에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김진명 기재부 정책기획과장은 "지난해 1월보다 수출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이 커졌는데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청년(15∼29세) 실업률은 9.5%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지난해 6월(10.2%)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입니다.
계절적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매년 1월 수치와 비교해도 2000년 1월 11.0%를 기록한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층이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다 보니 구직기간이 길어지면서 실업률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청년 취업자 수는 394만2천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2만5천명 늘었다. 고용률은 41.7%로 0.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1.6%로 작년 3월 (11.8%)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였습니다.
50대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나는 흐름은 계속됐습니다.
지난달 50대 취업자는 11만5천명, 60세 이상은 19만4천명 늘어 청년층 취업자보다 증가 폭이 더 컸습니다.
30대 취업자도 1만명 증가하는 등 전 연령대에서 취업자가 증가한 가운데 40대만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4천명 줄었습니다.
일자리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증가했습니다.
1월 제조업 취업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만5천명 늘었다. 21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세입니다.
제조업 다음으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8만1천명), 부동산업 및 임대업(6만4천명)의 취업자 증가 폭이 컸습니다.
도매 및 소매업(-12만5천명), 농림어업(-7만4천명), 예술·스포츠·여가관련서비스업(-1만6천명) 취업자는 감소했습니다.
심 과장은 "2월 초에 설 명절이 있었던 영향으로 숙박·음식점업, 운수업 등에서 취업자 증가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위별로 봤을 때 상용근로자가 50만9천명(4.1%) 증가한 가운데 임시근로자는 1만9천명(0.4%) 늘었다. 일용근로자는 5만6천명(-3.7%) 감소했습니다.
자영업자 감소세는 지속됐습니다.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가 530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8만4천명(-1.6%), 무급 가족종사자는 95만2천명으로 4만8천명(-4.8%) 줄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80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5천명 증가했습니다.
취업준비생은 60만9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만5천명(8.0%) 늘었습니다.
김진명 과장은 "전반적인 고용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지만 대외 불확실성 증가하고 기저효과가 커진 점이 고용 증가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