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빅 데이터 등 첨단 기술 구현을 뒷받침할 슈퍼컴퓨터가 국내 역량으로 독자 개발됩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10년간 1천억원 이상이 투자됩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AI,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촉발된 지능정보사회의 구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슈퍼컴퓨터 자체개발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4일 밝혔습니다.
국가 차원에서 진행되는 최초의 슈퍼컴퓨터 개발 프로젝트입니다.
초고성능 컴퓨팅 기술이란 보통의 컴퓨터로는 풀기 어려운, 대용량의 정보를 초고속으로 저장·처리·활용하는 컴퓨팅 기술을 말합니다.
미래부는 개발 프로젝트를 2단계로 나눠 올해부터 2020년까지 1PF(페타플롭) 이상인 슈퍼컴퓨터를, 2021∼2025년에는 30PF 이상인 슈퍼컴퓨터를 단계적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1PF은 초당 1천조(10의 15제곱) 번의 부동 소수점 연산이 가능한 처리 속도를 말합니다.
1단계 목표를 1PF으로 잡은 것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슈퍼컴퓨터를 개발해본 경험이 0.1PF 이하이고, 국내 재난·환경 분야 공공부문의 슈퍼컴퓨터 실수요가 1PF 내외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입니다.
1PF은 또 최근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의 대국으로 관심을 끈 구글의 AI '알파고'를 가동한 슈퍼컴퓨터보다 3∼5배가량 빠른 것입니다. 알파고를 돌린 슈퍼컴퓨터의 정확한 성능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0.2∼0.3PF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2025년 개발완료 목표인 30PF는 알파고와 비교하면 90∼150배가량 빠른 셈입니다.
새로 개발되는 슈퍼컴퓨터는 기존 상용제품의 약 4분의 1 수준(80㎾/PF 이하)의 전력을 소모하고 컴퓨터 간 연결을 통해 5∼10PF 이상 규모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입니다.
미래부는 슈퍼컴퓨터 개발을 위해 한국 최고의 전문가들이 지속해서 참여할 수 있도록 '초고성능 컴퓨팅(HPC) 사업단'을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사업단은 국내외 개발 경험과 비법을 보유한 다양한 개발주체(산·학·연) 간 컨소시엄 형태로 꾸려져 이 분야의 국내 역량을 총집결할 계획입니다. 사업단은 이달부터 공모를 통해 선정합니다.
미래부는 또 슈퍼컴퓨터 분야의 안정적인 R&D(연구개발)를 위해 매년 100억원 안팎 이상을 지속해서 지원합니다. 10년간 1천억원 이상인 셈입니다.
아울러 슈퍼컴퓨터 개발 컴포넌트(스토리지·운영체제·보드 제작 등)별로 중소기업의 참여를 보장해 이들이 기술력을 확보하도록 하고, 개발된 슈퍼컴퓨터는 기상·재해 등의 공공 분야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미래부 관계자는 "초고성능 컴퓨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통합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첨단기술의 집합체이자, 대규모 데이터를 고속으로 저장·분석·처리해 AI로 대표되는 지능정보사회의 기반기술"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 초고성능 컴퓨팅 시장은 95% 이상을 글로벌 기업이 점유해왔습니다. 그러다 보니 국내 기업들의 R&D 투자나 기술 경쟁력 확보는 점점 어려웠습니다.
미래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슈퍼컴퓨터 개발뿐 아니라 슈퍼컴퓨터의 HW·SW 등 전체적인 구성과 원리를 담은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
또 기업과의 공동연구, 기술 이전 등을 통해 산업계의 활력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래부 관계자는 "초고성능 컴퓨팅 기술은 통상 5년 후 일반 PC, 10년 후 모바일 기기로 파급된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공공기관이 외국에서 사오던 슈퍼컴퓨터 수요를 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