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학원생의 창업 등 대학발(發) 일자리 창출 분위기를 조성해 향후 5년간 신규 일자리 5만개를 만든다.
12일 교육부와 기획재정부 등 9개 부처·청은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의 ‘산학협력 5개년(2016~2020) 기본계획’을 국무회의에 상정하고 확정·발표했다.
향후 5년간 정부의 산학협력정책 방향은 기존의 학부생·제조업 중심에서 벗어나 대학원과 문화·예술 콘텐츠·서비스 분야까지 포함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존 정책들이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지역 혁신 주체와의 협력이 부족해 대학(원)생의 취·창업 역량 극대화에 한계가 있었다”며 “기업에 대한 대학의 일방향적 지원형태의 협력모델은 개선이 필요하고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창업 성공 가능성이 높은 석·박사급 기술창업 지원을 확대하고 ‘대학창업펀드’를 조성해 대학내 창업문화를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대학창업펀드는 창업교육을 통해 검증된 인재가 창업초기에 성장할 수 있도록 재정적으로 지원해주는 역할을 맡으며 중소기업 모태펀드내 별도계정으로 신설이 검토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창업펀드를 활용해 대학동문기업·지역사회 등과 공동으로 우수 사업 아이템을 가진 대학(원)생 교원 창업자(팀)을 지원하게 된다”며 “대학내 엔젤투자 기반이 마련돼 크라우드펀딩과 연계해 투자자 저변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2014년 한해 247개 창업했던 학생창업기업은 올해 600개로 늘어나고 2020년이면 1800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기업의 일자리도 292명(2014년)에서 5년이후에는 6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이 보유한 특허 등을 사업화하는 대학지주사의 범위도 문화·예술·서비스 분야로 확산돼 문화·예술 콘텐츠 대학지주회사가 설립된다. 또한 지자체가 재원을 지원하고 대학이 기술을 출자하는 연합형 대학기술지주회사가 늘어난다.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공학교육 혁신을 위해 공학교육인증제도와 기술사제도를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학과 기업이 교육과정을 공동운영하고 졸업생 채용시 우대하
교육부는 과제별 시행계획을 올해 상반기중에 마련해 법률개정이 필요한 사항은 내년 상반기 국회 통과를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예산은 연간 2500억원수준으로 5년간 총 1조2000억원가량이 투입될 예정이다.
[강봉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