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느끼는 우리 사회 전반의 안전도가 5점 만점에 2.79점에 그쳐 1년반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국민안전처는 18일 안전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상반기 국민안전체감도조사 분석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일반 국민의 사회 전반에 대한 안전체감도는 2.79점으로 지난해 하반기 2.88점보다 낮아졌다. 이는 2014년 하반기 이후 상승세를 보였던 안전체감도가 1년반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 지표는 조사를 시작한 2013년 하반기 2.96점에서 세월호 참사가 난 2014년 상반기에 2.77점으로 떨어졌으며 같은 해 하반기 2.69점까지 내려갔다.
이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확산한 지난해 상반기 2.75점으로 반등했고 하반기에는 2.88점까지 올랐으나 올해 들어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강남역 묻지마 살인, 구의역 사고, 섬마을 여교사 성폭행 사건 등이 잇따르면서 우리 사회의 불안감이 커졌다.
전문가들의 안전체감도는 지난해 하반기 3.01점에서 올해 상반기 2.82점으로 낮아졌고, 같은 기간 청소년들의 안전체감도는 2.97점에서 2.77점으로 떨어졌다.
일반 국민은 ‘어느 분야가 가장 안전한가’란 설문에 자연재난(21.2%)을 1순위로 택했으며, 신종 감염병(4.4%)을 최하위로 꼽았다.
4대 사회악 분야별로 조사한 안전체감도를 보면 성폭력은 조사 이후 처음으로 불안감이 상승했다.
성폭력 부문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률은 33.7%로 지난해 하반기 30.5%보다 3.2%포인트 높아졌다. 이 응답률은 2013년 하반기 49.0%에서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해 발생한 강남역과 섬마을 사건 등 여성 대상 범죄들에 따라 반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가정폭력 부문의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률은 18.1%로 조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하반기(11.4%)보다 6.7%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올해 초부터 아동학대 사망 사건이 잇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올해 상반기 1만4600건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54% 급증했고, 가정폭력 검거 건수는 2만2311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27.8% 증가했다.
학교폭력에 대한 불안감은 첫 조사 이후 지속해서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률은 지난해 하반기 38.5%에서 올해 상반기 38.4%로 0.1%포인트 감소에 그쳤다.
식품안전 부문은 불안하다는 응답률이 24.1%로 지난해 하반기 20.4%에서 3.7%포인트 높
정부가 4대악 근절대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강화됐다’는 응답률은 지난해 하반기 32.4%에서 올해 상반기 34.1%로 1.7%포인트 상승한 반면 ‘강화되지 않았다’는 응답률은 29.2%에서 34.0%로 4.8%포인트 올라 부정적 평가 증가폭이 더 컸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