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취업자는 계속 늙어가는 반면 실업자 평균연령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하면 기업의 부담은 커지고 젊은 노동력의 부족으로 일부 업종은 구인난에 시달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7일 발표한 '산업 일꾼들이 늙어간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초 30대 중반이던 전산업 평균연령은 2013년 40세를 넘어섰고 2015년 41.1세까지 상승했습니다.
또 최근 5년 동안 취업자 평균연령은 2.1세 높아져 고령화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반면 실업자들의 평균연령은 떨어졌습니다.
2000년 34.3세였던 실업자 평균연령은 2015년 38.0세로 올라갔지만 2016년은 37.7세로 0.3세 낮아졌습니다.
최근 청년층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으며 실업자 평균연령도 낮아진 것입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경제활동을 하지 않던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이 활발해지며 여성 취업자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습니다.
여성 취업자의 평균연령은 2010년 36.1세에서 2015년 39.6세로 3.5세 늘어났습니다. 같은 기간 남성 취업자는 40.3세에서 41.9세로 1.6세 상승했습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던 중·고령층의 여성이 가구주의 소득 부진, 교육비 부담 증가,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등을 위해 보건복지, 사업지원서비스 등의 일자리에 적극적으로 진입하면서 여성 취업자의 평균연령이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산업별로는 저부가 업종이 고령화되는 모습입니다.
농림어업(45.1세)과 광업(49.2세) 등 1, 2차 산업에 종사하는 취업자들과 부동산임대(54.6세), 운수업(46.9세), 하수 폐기물(46.4세) 등 산업 종사자들의 평균연령이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출판 영상방송(36.6세)이나 전문과학기술(38.5세), 금융보험(38.7세) 등 지식기반서비스 산업의 취업자들은 비교적 어렸습니다.
직종별로는 관리자와 단순 노무 직종이 각각 49.1세로 평균연령이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고도의 기능·기술을 필요로 하고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른 전문가 및 관련 직종의 평균연령은 38.0세로 가장 낮았습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영세사업장의 취업자 고령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었습니다.
5∼9인 규모 사업장의 취업자 평균연령은 42.1, 10∼29인 규모 사업장은 42.3세로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김 연구위원은 "충분한 교육 기간과 비용이 필요한 고도 기술직은 젊은 노동력이 부족해지면 구인난에 시달릴 수 있다"며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해 노동력 고령화를 지연시키고 고
그는 또 "고령화된 취업자들은 본인의 생산성보다 높은 임금을 받을 가능성이 커 기업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기업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생산성과 연동되는 임금체계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