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일 디지스트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
18일 DGIST(디지스트)는 문제일 교수(뇌인지과학전공) 연구팀이 가천대 서유헌, 장근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냄새를 못 맡는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60~80%를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 중 하나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 진행 상황과 후각 기능 이상 간의 연간 관계를 메커니즘을 풀어냈다. 현재 치매에 대한 근원적 치료법은 없지만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면 증세 악화를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치료제들을 적절한 시기에 투여해야 효과가 나타나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초기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는 '베타아밀로이드'로 불리는 독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과다 발현돼 뇌 안에서 축적되며 뇌신경세포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문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 기능 이상에 주목해 중추신경계인 뇌뿐만 아니라 말초신경계인 후각 신경계의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연구팀은 중추신경계 내부에서만 발현한다고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가 말초신경계인 후각상피조직 자체에서도 직접 발현하는 것을 관찰했다. 베타아밀로이드가 후각상피 속 후각신경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쳐 직접적으로 후각 기능 상실을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동물 행동 실험에서도 치매 초기 후각기능 이상은 뇌 인지기능 이상을 보이는 생후 14개월보다 앞선 생후 6개월에 진행됨을 확인했다. 지금까지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후각 능력 감퇴 간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는 됐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셀 데스 앤드 디지즈'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대구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