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차리는 법…'치'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다고?
추석 연휴를 맞아 차례상을 차리는 법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은 지방과 가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느 방법이 옳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상차림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사에서 쓰는 음식은 밥을 메라고 하고, 국을 갱이라고 하는데 밥(메), 국(갱), 숭늉(숙수)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하며 추석에는 송편이 대신합니다.
술(제주), 식초(초접), 간장(청장), 떡(편), 찌개(탕), 부침개(전), 구이(적), 포(어포, 육포 등), 식혜(혜), 나물(숙채), 김치(침채), 과자 및 과일(과실) 등은 신위 수와 상관없이 준비합니다.
술은 맑은 술을 준비하고, 식초와 간장은 종지에 준비합니다.
차례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제주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됩니다.
보통 5열로 상을 차리는데,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보면, 1열은 식사류인밥,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등이 오르고, 3열에는 그다음 될만한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며,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이 올라갑니다.
대개 어동육서(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좌포우혜(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조율이시(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따라 상을 놓습니다.
차례상을 준비할 때는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고, 고추가루와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으며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씁니다.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귀신을 는다는
믿음
고춧가루나 마늘 또한 귀신을 쫓는다고 하여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자나 '기'자로 분류된 고들들은 고급어종이지만, '치'로 끝나는 어종은 하급어종으로 조상님에 대한 예로서 최상의 음식을 대접한다는 예의에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