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림되는 가난'…저소득층 빈곤탈출 확률 갈수록 낮아져
경제적 취약계층이 빈곤을 벗어날 수 있는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러한 빈곤의 고착화는 주로 일자리, 교육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돼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윤성주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소득계층 이동 및 빈곤에 대한 동태적 고찰' 보고서에서 2007∼2015년 소득계층별 가구의 계층 이동률을 분석했습니다.
분석 자료는 제주도와 도서 지역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가구·가구원을 대상으로 한 재정패널조사를 이용했습니다.
보고서는 가구원 수를 고려한 가구 경상소득을 산출한 뒤 이를 기준으로 가구를 가장 소득이 적은 1분위부터 가장 많은 10분위까지로 구분했습니다.
이어 이들 가구를 대상으로 2007∼2015년 분위별 소득계층 가구가 다른 소득계층으로 상향·하향 이동하거나 그대로 머무를 확률을 도출했습니다.
분석 결과 2007∼2015년 평균적으로 1년 뒤 소득 분위의 이동이 없을 확률은 40.4%였습니다. 상향과 하향이동 확률은 30.1%, 29.5%로 나타났습니다.
즉 전체 가구의 30% 정도만 소득계층이 상승하고 나머지 70%는 변함이 없거나 오히려 더 빈곤한 계층으로 추락했다는 뜻입니다.
저소득 가구의 경우 소득이 나아질 확률보다 나빠질 확률이 높았습니다.
2분위 가구가 1년 뒤 2분위로 제자리걸음 할 확률은 40.5%였습니다. 1분위로 떨어질 확률은 22.7%로 3분위로 올라설 확률(19.31%)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3분위 역시 2분위로 떨어질 가능성(19.07%)이 4분위로 올라설 가능성(18.96%)보다 컸습니다.
분석 기간을 2007∼2009년, 2010∼2012년, 2013∼2015년으로 나눠 소득계층 이동 확률을 분석한 결과 1년 뒤 동일한 소득 분위에 머물 확률은 37.6%→41.8%→42.5%로 증가했습니다.
특히 1분위의 경우 53.0%→59.9%→61.8%로 빈곤 고착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소득 분위 상향 이동 확률은 32.1%→30.1%→28.4%로 낮아졌고, 하향이동 확률은 30.2%에서 28.1%로 낮아졌다가 다시 29.2%로 상승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소득계층의 상향 이동 가능성보다 유지·하향 가능성이 더 커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소득 1∼3분위를 '빈곤'으로 정의했을 때 2007∼2015년 1년 뒤 평균 빈곤진입률은 7.1%, 빈곤유지율은 86.1%, 빈곤탈출률은 6.8%였습니다.
시기별로 보면 1년 뒤 빈곤탈출률은 2007∼2008년 7.7%, 2014∼2015년 5.9%로 감소했으며, 빈곤유지율은 84.
가구주의 교육 수준이 높고 남성일수록, 취업 중인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빈곤이 지속될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보고서는 "빈곤 지속성은 일자리가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라며 "연령·가구주 성별 등에 근거한 정부의 차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