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이나 좁은 골목길에는 비상소화장비가 마련돼 있습니다.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곳이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데, 현장은 부실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이재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화재가 나면 주민이 직접 불을 끌 수 있도록 호스 등 장비를 보관하는 비상소화장치함입니다.
▶ 스탠딩 : 이재호 / 기자
- "비밀번호 자물쇠로 굳게 잠겨 있습니다. 심하게 녹이 슨 상태인데요. 그런데 소화장치함 어디에도 비밀번호는 적혀 있지 않습니다."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안내문이 다 뜯겨 나간 겁니다.
▶ 인터뷰 : 주민
- "부셔야지 뭐…. 다른 방법이 없잖아요. 여는 방법을 모르는데…."
119 안전센터에 전화를 걸어 비밀번호를 알아내 안을 열어봤습니다.
밖에 있어야 할 비밀번호가 안에 적혀 있습니다.
화재 발생 시 큰 피해로 번지는 전통시장.
초기 진화에 큰 역할을 하는 비상소화장치함은 물건 가판대에 가려 찾기도 어렵습니다.
- "이렇게 해 버리면 필요할 때 못 쓸 것 같은데…."
- "급하면 밑으로 당기면 되니까 걱정 마세요."
경기도 평택의 한 전통시장에는 아예 비밀번호가 적혀 있지 않습니다.
소방관들이 수시로 나와 교육을 하고 있다지만 모르는 상인들도 적지 않습니다.
- "한 번 열어보실 수 있을까요?"
- "번호를 모르는데…."
소화전 바로 옆이 버젓이 주차구역으로 지정된 곳도 있습니다.
소화전 5미터 이내 주·정차는 과태료 처분 대상이지만, 지자체가 위법행위를 조장한 겁니다.
소홀한 관리와 상식에서 벗어난 행정에 대한 발빠른 보완 조치가 절실합니다.
MBN뉴스 이재호입니다. [ jay8166@mbn.co.kr ]
영상취재 : 이준희 VJ
영상편집 : 양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