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규모 5.4)과 인근 지열발전소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소 간 연관성은 지진 발생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검증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번에 연구 결과가 실린 논문이 나오며, 학계에선 이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와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등이 참여한 국내 연구진은 오늘(27일)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을 위한 유체 주입(물 주입)으로 생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유발지진은 사람의 활동으로 발생한 지진을 일컫습니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실렸습니다.
연구진은 작년 11월 10일 포항 지열발전소 인근에 지진계를 설치, 임시관측망을 마련했습니다. 공교롭게도 연구진이 지진계를 설치한 지 5일 뒤인 15일,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진(前震)과 본진(本震)의 발생 위치가 물 주입을 위해 만든 시추공의 위치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6∼2017년 물 주입이 있을 때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자주 발생한 점, 시추공 완공 전인 2012∼2015년에는 이 지역에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한 차례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도 연관성의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김광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이라는 사실을 비교적 빨리, 과학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만일 연구진의 주장대로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으로 인한 유발지진이라면, 이는 지금껏 보고된 유발지진 중 최대 규모입니다. 유발지진은 규모 3.5를 넘지 않는다는 게 학계의 통념이었습니다.
한편 이날 사이언스에는 지열발전소의 물 주입과 포항지진과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추가로 실렸습니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독일 포츠담대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진 '디스트레스'(DESTRESS)는 작년 포항지진의 본진과 46회의 여진이 지열발전소 반경 2㎞ 이내에서 일어났으며, 지진을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단층이 시추공의 밑부분을 통과한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또 이 지진들이 땅속 3∼7㎞ 지점에서 발생했다며, 이 지역 자연지진에 비해 유독 깊이가 얕다는 점도 차이로 들었습니다.
다만 디스트레스 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는 아직 잠정적인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독립적인 조사위원회를 꾸려 포항지진과 물 주입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고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어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 프로젝트와 연관성이 있다고 보이지만, 마지막 수리자극(물 주입) 2달 뒤에야 본진이 일어난 것을 설명할 정량적인 모델과 분석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내 학계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대한지질학회는
지질학회는 "직접적이고 과학적인 증거에 기반, 최종적으로 포항지진과 지열발전 시설의 연관성을 판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