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대입특위)가 연 전문가·이해관계자 협의회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중심으로 하는 수시모집 유지·확대 목소리가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학부모 사이에서는 학종 공정성에 대한 불신이 여전히 커 적정한 수시·정시 비율을 둘러싼 혼란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교육계에 따르면 대입개편 특위는 2022대입제도 개편의 공론화 범위를 정하고자 이달 4일부터 18일까지 5차례에 걸쳐 전문가·이해관계자 협의회를 열었다. 협의회는 △교원단체(4일) △일반 교원·학생(10일) △학부모단체·시민단체(11일) △일반대학·전문대학 입학처장(16일) △입학사정관을 포함한 학계·민간전문가(18일) 그룹으로 나뉘어 비공개로 진행됐다. 각 협의회별로 10명에서 30명까지, 총 100명에 가까운 전문가와 이해관계자가 참석해 대입개편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전문가·이해관계자 협의회에서는 객관식인 수능의 한계점을 지적하며 학생부를 중심으로 한 수시모집 확대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컸다. 협의회에 참여한 한 교육계 관계자는 "수시모집 확대가 학교 현장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에 참석자 대부분이 공감했다"며 "학교 교육 내실화와 미래에 대비한 새로운 교육방식 정착을 위해 수시모집을 줄여서는 안되고 수능 절대평가도 더 늦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공개행사였던 '국민제안 열린마당'에서는 학종 공정성에 대한 학부모들의 날 선 비판과 함께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중심으로 한 정시모집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두드러졌다. 학부모들은 여전히 학종에 대한 불신이 큰 셈이다.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학종을 개선하고 수능과 고교 내신 절대평가를 함께 도입해야 한다"며 "특히 학종은 오해나 학생·학부모의 이해 부족으로 논란이 생기는 게 아니라 실제로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의견들은 지난해 2021학년도 대입개편 논의 때 대부분 나왔던 의견들이라 '도돌이표 논의'가 반복되며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협의회 참석자는 "지금까지 여론을 몰라서 (대입개편을) 못 했겠느냐"며 "최선책을 찾을 자신이 없다면
앞서 교육부는 △수시·정시 적정 비율 △수시·정시모집 통합 여부 △수능 평가방식 등을 주요 쟁점으로 꼽았다. 이 가운데 수시·정시 비율은 각계의 주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어 공론화 범위에서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희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