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서울 강남 소재의 한 치과에 모인 피해자들이 진료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 = 채민석 인턴기자] |
김 모씨(24)는 "소셜미디어에서 '무료로 교정을 해주겠다'는 서울 강남의 한 치과 이벤트 게시물을 보고 지난해 2월부터 1년 넘게 해당 의원에서 치아교정을 받았지만 제대로 된 진료를 한 번도 받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이 모씨(22)도 "진료를 받기 위해 찾아가면 예약인원이 너무 많아 예약시간보다 기본 30분에서 2시간 이상 대기를 하기 일쑤" 라며 "예약 시간을 변경하려 해도 수십 번 전화를 해야 한 번 받고 담당자가 다시 연락을 주겠다고 했지만 전화가 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채팅방은 이 처럼 분노에 찬 제보와 치과에 대한 성토로 가득했다.
최근 몇몇 치과들의 도넘은 과장광고와 무리한 이벤트로 피해를 보는 고객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 A치과에서 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주 모씨는 "상담 실장이 이벤트 당첨으로 인한 의료비 전액 지원은 의료법상 불법이라는 이유로 약 500만원 정도를 요구했다" 며 "가족과 상의 후 결정하겠다고 하니 지금 당장 결정을 해야 이 가격에 할 수 있다고 10만원의 예약금을 걸고 가라고 했다" 라고 말했다. 예약금을 걸고 의원의 사정으로 인해 진료를 봐주지 않은 경우는 환불이 원칙이지만 이벤트성 상품이라 환불이 어렵다는 이유로 미뤄지고 있는게 실정이다.
비용뿐만 아니라 진료 과정에서도 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했다. 지방에서 올라와 진료를 받는 이용객들은 의원이 전화를 받지 않아 예약에 차질이 빚었고, 같은 시간대에 몇 명의 환자를 중복으로 받아 4시간 이상 기다리는 경우도 잦았다. 또 첫 방문때부터 의사가 별 다른 상담 없이 치위생사와 몇 마디 대화 후 교정치료를 진행하고 환자의 의사와 관계 없이 치아 절개도 했다는 사례도 있었다. 몇몇 피해자들은 오히려 교정 전보다 치아 상태가 악화됐다. 한 피해자는 "4년동안 교정을 했지만 나아진 게 없고 의사들은 장치 착용시간 탓만 한다"면서 "이후 진료를 받아도 치아 상태가 개선되지 않자 다른 의원을 찾아보니 교정이 완전히 잘못됐다고 말했다" 라고 밝혔다.
이러한 피해가 늘자 피해자들은 모임을 결성하고 오픈 채팅방에서 환불 정보를 공유하고 청와대 국민 청원까지 진행하고 있다. 이에 해당 치과는 지난 19일부터 22일까지 휴진 공고를 내고 '23일 이후로는 응급 환자를 제외한 일반 진료는 불가능하고 예약은 다시 잡겠다' 라는 문자를 이용객에게 발송했지만 이후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반발이 거세지자 의원측은 사과문을 작성하고 피해자 대표 10인과의 간담회를 추진했지만 피해자들은 이미 정상화가 힘들어 보이는 의원이 피해보상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폐업을 하게 되면 환불을 해주지 않는 상황이 오는게 아니냐며 불안해하고 있다.
과도한 시장경쟁으로 인해 병원들이 무리한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특히 사람들이 한 번에 몰리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병원들은 예약 절차나 치료과정에서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강남에 위치한 B치과에서 교정치료를 받은 최 모씨(28)는 "최근 SNS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치과들은 허점이 많다" 며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담당 의사가 바뀌어 있고, 면담을 요청해도 의사가 아닌 일반 직원이 설명해준다"고 토로했다. 환불도 쉽지 않다.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할 서류들이 한 두가지가 아니고 원내에 진료기록사본발급을 담당할 인원이 모두 퇴사했다는 이유로 원내방문발급이 불가능하다는 공지까지 홈페이지에 올라왔다. 한 제보자는 280만원을 입금한 뒤 진료를 받지 못하고 교정 틀도 본뜨지 않은 상태로 환불 요청을 했지만 4주가 지나야 환불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이러한 사태에 대해 대한치과교정학회는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특정 장치를 내세워 할인이벤트 등의 불법허위과장 광고로 환자를 유인하는 행위는 의료인으로서 명백한 비윤리적 행위" 라며 "해당 의료기관에서 개선 노력이 없을 경우 해당 회원의 학회 회원 자격 정지 또는 취소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
한 익명의 치위생사는 "과장광고로 인해 이용객이 몰리면서 예약이나 치료 과정에 있어 문제점이 발생한 것 같다" 며 "브라켓 같은 장비들은 전문의가 붙여야 하지만 몇몇 피해자들에 따르면 위생사가 시술을 했다는데 이는 명백한 위법행위"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채민석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