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3 지방선거 당시 서울 송파구에 걸렸던 현수막.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6·13지방선거가 막을 내리면서 거리 곳곳에 걸렸던 현수막 철거작업이 시작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선거에 사용된 지방선거 현수막은 총 13만 8192장이다. 현수막 하나가 약 10m 안팎임을 감안하면 모두 이었을 경우 약 1382km에 달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까지의 거리임 셈이다.
현수막은 대부분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재활용이 어렵다. 폐 현수막 매립은 그 기간만 50년이 넘어 토양 오염을 심화시키고 매립장 용량을 크게 떨어뜨린다. 폐 현수막을 태울 경우 합성수지가 다이옥신을 배출하고, 현수막 잉크성분이 악취를 내뿜으며 주변 대기질을 크게 악화시킨다. 폐 현수막에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딱지가 붙은 이유다.
비용 역시 막대하다. 자원순환연대에 따르면 약 10만여 개의 현수막이 사용된 지난 2010년 총선 때 현수막 제작과 수거에 들어간 비용만 약 100억원 정도다.
이에 환경부는 14일 폐 현수막을 장바구니로 제작해 재활용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현수막 장바구니는 다음달 3일부터 노원구와 금천구의 중소마트 및 전통시장에 무상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환경부 자원재활용과 송혜영 사무관은 "제작은 시작됐고 어떤 가게에 지급할지 검토 중"이라면서 "이번 사업을 단순한 일회성 사업으로 끝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대구 수성구청은 현수막을 낙엽 수거 마대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시행중이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현수막을 재활용하는 시도는 일부 지자체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대구시 수성구청은 지난 2014년부터 환경보전 사업과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폐 현수막 재활용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2018년 역시 3월~10월까지 사업을 운영하고 선거가 끝난 14일부터는 선거 기간 도심에
현수막 수거는 각 동 주민센터와 도시디자인과가 담당해 수거하고 모인 현수막은 재활용작업장에서 청소용 마대로 사용한다.
만든 현수막 마대는 각 동 주민센터에 무상으로 나눠주고 쓰레기 수거에 직접 사용할 예정이다.
[디지털뉴스국 송승섭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