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금도 일정 소득 이하의 구직 청년에게 수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이번엔 아예 자격이나 조건을 싹 없애고, 모두에게 돈을 지급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1,600명에게 2년간 50만 원을 지급한 후 서울시 청년 전체로 그 대상을 확대한다고 합니다.
굉장히 많은 돈이 지속적으로 들어가는 건데, 서울시 청년 155만 명 모두에게 월 50만 원씩 주는 걸, 서울 시민들이 흔쾌히 동의할까요?
정책을 제안한 연구소 측은 20대 청년이 심리적으로 많이 위축돼 있고 이대로 놔두면 우리 사회의 역동성에 큰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지급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청년들이 사회를 신뢰하지 못하고 위축돼 있는 건 '지금 당장' 돈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아무리 노력을 해도 빽 있는 사람이 먼저 취직하고, 결혼을 하고 싶어도 육아와 경력단절 이후가 두렵기만 하죠. 최저임금을 올리면 뭐합니까, 물가가 더 빨리 오르는데요.
또, 아무리 열심히 연금을 부어도 받는 돈은 평균 40만 원, 정부가 주는 노인 일자리로는 기본적인 생활도 안 될테니 사회에 절망하고 불안한 미래에 위축되는 겁니다.
문제도 적지 않습니다. 청년들이, 국민의 세금으로 준 이 돈을 유용하게만 쓸까요. 또 복지가 필요한 다른 세대는 어쩌죠? 일자리가 없어 취업난에 시달리는 건 비단 청년만의 문제가 아닌데, 형평성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은 청년을 위해서 복지정책이 필요하다는 건 온 국민이 다 알고 있습니다. 반대할 사람이 없죠. 그렇다면, 예산만 집행하면 되는 손쉬운 방법만이 아니라 복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장기적인 정책을 함께 마련해야 맞지 않을까요.
그 돈, 다 시민이 낸 세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