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둘기로 인한 각종 피혜 사례가 늘면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환경부는 지난 2009년 도시에 주로 서식하는 비둘기 종인 '집비둘기'를 유해동물로 지정하면서 비둘기가 생활에 과도한 불편을 초래할 경우 포획까지 가능하도록 법령을 마련했다. 당시 환경부가 실시한 '유해 집비둘기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에는 약 3만5000마리의 비둘기가 있다. 그 이후로는 뚜렷한 현황 자료가 없는 상황이지만 대한조류협회는 최근 전국에 서식하는 비둘기 개체 수가 100만 마리, 수도권에만 50만 마리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늘어난 개체 수만큼 비둘기 피해로 인한 조치는 제대로 취해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대학가 근처에서 작은 식당을 운영하는 이재엽 씨(29)는 "매장 청소를 하려고 문을 열어둘 때 간혹 비둘기가 매장 입구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면서 "아무리 쫓아내도 날아가지 않고 민원을 넣어도 '어떻게 할 수 없다'는 대답만 돌아와 답답하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어 "지자체에 전화를 해도 해결해 줄 수 없다는 식으로 나오니 비둘기가 오면 계속 내쫓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고 털어놓았다.
서울 광진구의 한 병원에서 근무중인 김화영 씨(27)는 "쓰레기 주변에서 오염된 음식물이나 배설물을 먹고 있는 비둘기들을 자주 본다"라며 "이런 환경에서 자란 비둘기들이 실제로 질병에 걸려 있을 확률도 높고 이 질병이 사람에게 옮겨질까 무서워 자주 피한다"고 했다. 김씨는 "나 뿐만이 아니라 지나가다가 비둘기 날개 짓에 '꺄악' 소리내면서 피하는 시민들도 많다"며 "정부나 시에서 비둘기 개체 수 조정 등 제대로 된 조치를 취했으면 좋겠다"고 꼬집었다.
비둘기 배설물로 인한 피해도 적지 않다. 강한 산성의 비둘기 배설물로 인해 각종 문화재 등에서 부식이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둘기 개체수가 많은 종로2가 탑골공원에 위치한 국보2호 언각사지 10층석탑의 경우 비둘기 배설물로 부식돼 유리 보호망을 설치해 보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에 접수되는 비둘기 민원은 한달 간 수십개에서 많게는 수백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환경부 생명다양성과 관계자는 "민원이 들어오는 지역은 지자체에서 개체 수 확인 등 조사를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자료는 없다"며 "도심 속 집비둘기는 개체 수나 서식지 등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세한 것은 모른다"고 했다. 서울시 관계자 역시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없고 원래 각 관할 구청에서 해결해야 할 일들이다"며 "환경부에서 유해 조류 관련 기피제 살포나 먹이 주지 않기 홍보 등 지침이 내려오면 실행하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지자체에 소홀한 퇴치 작업은 이 뿐만이 아니다. 인천지역 기초단체들은 비둘기 번식을 막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일괄적으로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는 현수막을 설치해 계도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걸린 현수막 상당수가 비바람 등으로 훼손돼 수거됐고, 지자체들은 현수막을 재설치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지자체가 책임을 떠미는 상황에서 비둘기 퇴치 전문업체가 등장했다. 해당 업체들은 친환경 조류기피제 등을 만드는 등 들어오는
[디지털뉴스국 정소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