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39분'의 골든타임 동안 시·구·시공사 모두 손 놓던 것으로 밝혀진 데 이어 이번 사고가 '안전 불감증'과 총체적 부실 대응에 따른 '인재(人災)'라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2일 서울시와 양천구 등의 말을 종합하면 이번 사고의 배경에는 허술한 관리 체계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7월 1일 시운전이 시작된 이후 현장 점검 과정에서 문제점이 드러나면 양천구-서울시-시공사로 이어지다 보니 현장 조치가 제때 이뤄지기 힘든 구조다.
지난 7월 29일에도 양천구는 서울시에 "시운전 과정에서 터널에 유입된 빗물로 방수문 누수와 배제 펌프 전력 과부하 등의 문제점이 발견됐다"며 개선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지만, 서울시와 시공사인 현대건설 모두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개선 요청이 오다 보니 시급한 사안이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심지어 이번 사고 현장에는 안전 문제를 총괄할 감리도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지난 2013년 7월 '노량진 수몰사고' 이후 밀폐 공간 내 작업 시 감리 상주를 의무화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이번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았다.
비용절감을 위해 감리사의 등급을 낮춘 사실도 추가로 드러났다.
연장된 공사 기간에 감리 업체들은 감리사의 등급을 한 단계씩 낮췄다. 책임 감리원은 수석감리사에서 감리사로, 전기 감리원은 특급 감리사에서 고급 감리사로 바꾸는 식이다. 이렇게 등급을 낮춰 총 2억 원의 예산을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본 공사는 모두 완료가 됐기 때문에 예산 절약 차원에서 추가 공사에 대해서는 그 규모에 맞는 감리사를 고용하도록 감리업체와 협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8월 28일 양천구, 강서구 일대에 집중호우가 쏟아져 침수 피해가 났지만, 당시 펌프장에는 현장 대기 인원이 없어 제때 수문을 열지 못했다. 당시에는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개방하는 시스템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경찰 조사가 끝나고 원인이 규명되면 책임소재를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월 빗물배수저류시설은 상습 침수지역인 강서·양천 가로
총사업비는 1380억원으로, 서울시가 발주해 현대건설 등이 시공을 맡았다.
지난 7월 주요 공사를 마무리했고, 오는 10월 15일까지 시운전을 거쳐 오는 2020년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었다.
[디지털뉴스국 이세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