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mbn이 뉴타운 재개발 현장의 석면 관리 문제점을 지적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처럼 언론에 이어 국회까지 석면관리의 문제점을 연이어 쏟아내자 뒤늦게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무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서울의 한 뉴타운 개발 현장입니다.
추운 날씨에도 한쪽에서는 포크레인이 건물을 부수자, 다른 한쪽에서는 연신 물을 뿌려댑니다.
날리는 먼지를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것이지만 여의치 않은 모습입니다.
같은 시각 서울의 또 다른 뉴타운.
대표적인 석면 자재인 슬레이트로 뒤덮인 공단지역이었던 이곳의 철거 모습은 사뭇 다릅니다.
방진 작업복은 물론 방독면을 착용한 작업자들이 슬레이트를 하나하나 따로 포장하고 있습니다.
이미 뿌려진 습윤재로 먼지는 그다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스탠딩 : 이무형 / 기자
- "정부가 뉴타운과 같은 도심 재개발 방식을 선호함에 따라 석면을 많이 사용한 70~80년대 건물에 대한 해체 작업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서울에만 35개 뉴타운, 119개 구역이 철거 중이거나 앞으로 철거 일정이 잡혀 있습니다.
석면의 인체 잠복 기간은 보통 30년.
70년대부터 급속히 늘어난 석면 사용량을 고려할 때 폐암과 진폐증 등 석면 질환의 본격적인 발병률은 급속히 높아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정부는 뉴타운 철거 작업장의 근로자들은 물론 인근 주민들의 위험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자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 인터뷰 : 이영희 / 노동부 장관
- "뉴타운 현장은 위치상으로도 인구가 밀집한 도심에 위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뉴타운 철거 공사는 이주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내년부터 정부는 뉴타운 등 대규모 현장의 석면 관리 실태를 일제 점검하고, 노동부와 환경부 등 기관이 보유한 석면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또, 산업안전공단은 '석면기술지원단'을 구성해 각 현장별 석면제거와 처리방법, 장비 사용방법 등을 지원 교육한다고 밝혔습니다.
mbn뉴스 이무형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