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6일)은 고 김수환 추기경이 선종한지 1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지난해 김 추기경 선종 이후 장기 기증을 희망한 이들이 크게 늘긴 했지만, 어렵게 조성된 기증 문화를 이어가려면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최인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지난해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회사원인 백민수 씨는 고 김수환 추기경의 뜻을 잇기 위해 장기기증 서약을 했습니다.
또 올들어서는 새해를 맞아 아내와 두 자녀에게도 장기 기증을 서약하길 권했습니다.
▶ 인터뷰 : 백민수 / 회사원
- "가족들한테 제가 우리도 나눔을 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떻겠냐고 제안했습니다. 우리 아이들과 아내가 흔쾌히 받아줬습니다."
김 추기경 선종 이후 장기 기증 서약에 나선 이들이 줄을 이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장기기증 희망등록자는 18만 5천여 명으로 2008년에 비해 무려 2.4배가량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월별 추이를 보면 상황이 다릅니다.
지난해 5월 정점을 찍은 이후 장기 기증을 희망한 이는 김 추기경의 선종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장기 기증 문화가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윤경중 / 한마음 한몸 운동본부 부장
- "장기기증 희망 안내실들이 전국에 세워졌으면 좋겠습니다. 또 다양한 어떤 홍보방법, 정부지원을 통한 홍보들이 끊임없이 이뤄져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장기기증을 서약한 이들이 실제로 장기기증을 할 수 있도록 기증 희망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최인제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