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근과 박철순은 당대 최고의 투수코치와 투수로 만났다. 1982년 프로야구 원년. 김성근은 명망 높은 투수 조련사로, 박철순은 미국야구를 체험한 에이스로 OB 베어스에 합류했다.
박철순은 한국 프로야구의 첫 번째 영웅이었다. 그는 22연승의 대기록 포함, 24승 4패의 빛나는 전과를 올리며 팀을 원년 챔피언에 올려놓았다. 이런 박철순을 뒤에서 묵묵히 끌어준 사람이 김성근 투수코치였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사진은 1983년 초, 동계훈련 중 찍은 것이다. 원년 우승 뒤 맞는 첫 동계훈련이라 함박웃음이 절로 나지만 얼마 뒤 김성근 박철순 둘 다에게 엄청난 시련이 닥친다.
챔피언의 후유증은 너무도 혹독했다. 허리통증을 없애기 위해 국부주사를 맞으며 한국시리즈에 등판한 박철순은 그 뒤 처절하게 무너졌다. 재기와 좌절을 거듭한 박철순은 1996년 은퇴할 때까지 단 한 번도 10승 고지를 밟지 못했다.
김성근은 그 때를 회고하며 “1982년 한국시리즈 최종전이었던 6차전엔 박철순 등판을 끝까지 말렸어야 했다. 두고두고 후회스럽다”고 했다. 하지만 박철순은 자신의 몸 상태를 누구보다 잘 알면서도 스스로 그 길을 택했다. 전장에 목숨을 내던지는 전사와 같은 마음이었다.
박철순이 부상과의 기나 긴 싸움을 벌이는 동안 OB 역시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 시기 OB 사령탑이 김성근이었다. 김성근은 1984년 OB 감독을 맡아 1988년 시즌 중 물러났다. 그가 감독으로 있는 동안 OB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게 전부였다.
박철순의 영향이 컸다. 박철순은 1984년과 1988년엔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으며, 1983년 4경기, 1985년 9경기, 1986년 13경기, 1987년 5경기에 나선 게 전부였다.
궁합이 안 맞았던 셈이다. 그래서인지 김성근-박철순, 둘은 아주 가까운 사이는 아니었다. 허심탄회하게 속마음을 털어 놓는 사이도 아니다. 김성근이 치밀하고 조용한 성격이라면 박철순은 호방하고 털털한 스타일이랄까.
당시 OB엔 알게 모르게 ‘계파’란 것이 존재했다. 굳이 나누자면 ‘김성근 계’와 ‘이광환 계’, ‘일본야구 파’와 ‘미국야구 파’ 정도로 볼 수 있다. ‘김성근 계’는 김우열 계형철 박상열 조범현이 대표적이었고, ‘이광환 계’는 박철순 김광수 김경문 김형석 등이라 할 수 있겠다.
김성근과
[매경닷컴 MK스포츠 김대호 기자 dhkim@maekyung.com]
사진제공=장원우 전 주간야구 사진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