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강대호 기자] 유선전화가 끊기고 국가대표선발전도 기약이 없던 대한수영연맹 사태가 표면적으로는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다.
대한수영연맹은 22일 2017년 주관대회 일정을 공지했다. 제29회 하계올림픽 남자수영 자유형 400m 금메달리스트 박태환(28·인천시청/팀지엠피)은 5월 12~15일 국가대표 선발대회를 통하여 6년 만의 정규코스 세계정상탈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됐다.
팀지엠피 관계자는 “23일부터 박태환의 출전 및 훈련 일정을 짜고 있다”고 전했다. 오는 7월 14~30일로 예정된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선수권에 출전하기 위한 국가대항전 참가자격 획득이 하염없이 미뤄지면서 세우지 못한 중장기 프로그램 수립에 착수했다는 얘기다.
↑ 사진=MBN 방송 화면 |
MK스포츠와의 통화에서 대한수영연맹은 “국가대표 훈련비는 끊긴 적이 없다. 다만 대회 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지급하지 못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과는 “1~3월 아무런 대회가 열리지 않고 국가대표팀 구성마저 불투명한 상황을 인지하고 개선을 요청했다”면서 “이렇게까지 된 자초지종을 파악하고 있다. 운영상의 잘못이라면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히겠다”고 말했다. 이제 그럼 아무 문제도 없게 될까?
대한수영연맹은 2016년 3월25일 대한체육회 관리단체로 지정되어 의사결정 권한을 박탈당했다. 이에 앞서 2월11일 문화체육관광부는 부당이득 등을 근거로 보조금 지원을 중단했다.
MK스포츠 취재에 응한 대한체육회 종목육성부는 연맹 정상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비리자 참여배제’를 꼽았다. 그다음이 행정 능력 회복이다.
밖에서는 공석인 회장선출을 위한 선거 등 ‘관리단체’라는 비상시국에서 벗어날 방안을 왜 마련하지 않느냐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현실은 이런 겉치레를 신경 쓸 여력이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연맹 사무실 전화가 불통이었던 까닭은 사회보험료 체납이다. 징수업무를 담당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건복지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재산압류에 들어갈 정도의 장기 미납으로 드러났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수영연맹에 대한 보조금 교부는 2016년 12월 재개됐다. 2017년부터는 모든 경기단체가 대한체육회를 통하여 국가 예산을 받는다.
그러나 2월부터 연맹 계좌가 체납처분 대상이 되면서 대한체육회는 보조비를 줄 방법이 없어졌다. 국가지원금은 이체만 가능하고 현찰로 건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정난은 뿌리가 깊다. 수영국가대표 전임지도자 퇴직금이 5년 안팎 밀린 것이 대표적이다.
일각에서는 ‘집행부가 공석인 탓에 후원을 희망하는 기업이 추진할 방법을 모르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상당한 규모의 채무를 책임져야 하는 연맹 회장을 선뜻 맡을 사람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올해 경기일정이 뒤늦게나마 확정된 것은 다행이나 내막을 알면 암담하다. 의결 권한을 상실하여 관리위원회가 운영하고 행정 기능은 대한체육회 종목육성부가 수행한다고 해도 결국 실무는 ‘수영 전문성’이 있는 연맹 사무국의 몫이다.
그러나 연맹은 2016년 결산자료만 처리했을 뿐 2017년 예산안은 아직도 관리위원회에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체육회는 “수입 추정치 등 자생능력을 판단할 근거 없이 보조금을 무작정 집행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연맹에 대한 압류는 2월부터 적용됐다. 사무국 인건비 및 운영비에 대한 보조금은 1월까지는 정상교부된 것으로 알려졌다.
‘직원들이 급여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는 연맹의 사회보험 체납 때문임이 빠졌다. 상황을 자초했다는 설명 역시 없다. 월급에 대한 국비 지원 1달 중단이 3월 하순에도 새해 예산을 설정하지 않은 이유가 되어선 안 된다.
연맹이 2017년 일정을 공개할 수 있던 것은 관리위원회의 결단 덕분이었다. 국가대표선발전 같은 시급한 경기개최를 위해 연간예산 승인 전에도 대회별 운영비를 지원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보조금
[dogma0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