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강대호 기자] 제23회 동계올림픽 운영을 위해 공기업 지원을 압박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반박이 나왔다.
‘파이낸셜 뉴스’는 7일 사설에서 “평창올림픽, 공기업에 손 벌리지 마라”며 “운영예산 확보 어려움에 부닥친 정부·조직위가 2000억을 부담하라고 압박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경제’ 역시 8일 사설에서 “결국…공기업 돈 뜯어 평창올림픽 치르겠다고? 문제가 많다”며 지적했다.
이에 9일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는 국내보도지원팀을 통하여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이하 전문.
□ 평창올림픽은 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개최되는 올림픽이자,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첫 번째 동계올림픽이며, 2020 도쿄, 2022 베이징에 앞서 ‘스포츠 아시아시대’를 여는 의미에서 반드시 성공적으로 개최돼야 함.
ㅇ 성공 올림픽을 위해 올림픽 참가자(100여 개국, 5만여 명)의 공항 출입국, 수송, 숙박, 경기진행 및 방송중계 등 여러 분야에서 정부 및 관련 기관의 협조와 지원이 필수적임을 우선 말씀드림.
<운영예산 구조 및 기업 후원 관련>
□ 올림픽 예산은 고속도로와 고속철, 경기장 등 인프라 건설과 올림픽(IT시설, 관중편의시설 등)에 직접 사용되는 운영예산으로 편성됨.
ㅇ 인프라 시설은 국고와 지방비로 충당되지만, 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운영예산은 기업들의 후원계약, IOC 지원금, 입장권 판매, 기념주화 발행 등으로 충당됨.
ㅇ 특히, 이 중 기업들의 후원계약은 9400억을 목표로, 전체 운영예산의 34%를 차지하며, 지금까지 민간 기업으로부터 8670억을 달성했음.
ㅇ 아울러, 조직위는 공공기관도 민간 기업과 같이 물품 및 용역을 공급하는 대가로 마케팅 권리를 부여하는 등 후원금 유치 노력을 하고 있음.
ㅇ 특히, 기업은 후원의 대가로 IOC로부터 올림픽 휘장 사용 및 독점적 마케팅 권리를 부여받기 때문에 일방적인 기부금과는 큰 차이가 있음.
ㅇ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지난 4월 6일 유일호 부총리의 조직위원회 방문 시 “지금까지 민간 기업의 후원은 어렵게 진행되고 있지만, 공기업과의 계약은 없다”고 보고하면서 지원을 건의, 향후 검토해 나가겠다는 방향을 제시한 것임.
□ 동계올림픽은 산악지역에서 겨울에 열리는 관계로 전력, 도로·철도와 같은 공기업이 후원기업으로 참여한 해외사례가 다수 있으며, 전경련에서도 올림픽이라는 국가적 행사에 민간 기업 뿐만 아니라 공기업 참여 필요성을 제기한 사항임.
※ 과거 올림픽 개최 시, 공기업의 참여 사례
- 전력 : ‘06 토리노, ’08 베이징, ‘10 밴쿠버, ’12 런던
- 철도 : ‘06 토리노, ’14 소치
- 공항 : ‘10 밴쿠버
□ 조직위는 전력공급, 선수촌 아파트, 올림픽 메달 및 기념 화폐 제작 등 물품 및 서비스를 공기업으로부터 유상으로 받고 있으므로, 동 부분의 독점적 공급권에 대해 공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으려는 것임.
ㅇ 한국전력은 평창올림픽을 통해 전기료 및 시설부담금으로 조직위로부터 약 700여억 원을 받게 돼 올림픽에서 큰 수익을 올리게 됨.
※ 민간 기업의 경우 물품 및 서비스에 대한 조직위 제공은 상당 부분이 후원방식을 통해 추진하고 있음
□ 특히, 일본의 경우 2020 도쿄 올림픽 성공을 위해 정부와 조직위, 언론, 기업 등이 합심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언론사도 후원기업으로 참여 중임.
ㅇ 일본은 요미우리, 아사히, 니케이, 마이니치 등 언론사도 Tier 2등급(600억 원 수준)으로 후원에 참여하고 있음.
ㅇ 도쿄 올림픽 스폰서 예상목표액 1.4조 원(미 달러 기준 13억)을 ‘17년 1월 현재 286% 초과 달성한 4조 원 수준에 달함.
□ 아베 총리는 집무실에 스폰서 유치 현황판을 걸어놓고 기업의 올림픽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등 정부에서 올림픽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있음.
□ 결국, 기업 후원금이 운영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을 볼 때 올림픽 자체가 민간 또는 공공기업의 후원금으로 치러지는 축제임에도 ‘기업에 손 벌리지 마라’는 내용의 보도(사설)는 올림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밖에 볼 수 없음.
<대회 재정계획 관련>
□ 현재 평창올림픽 준비를 위한 운영예산은 정부와 협의를 거쳐 확정(‘17.3월)된 제4차 대회 재정계획 상 부족 금액은 3000억 원 수준임(수입 2.5조, 지출 2.8조)
ㅇ 제4차 재정계획은 비드파일(2.2조 규모) 대비 6천억 원 증가한 수준으로 이는 올림픽플라자, IBC 건설 등 지자체 사업의 조직위 사업으로의 전환, 대회종목 확대(86→102개) 등으로 인한 것임.
□ 조직위는 부족 재원 확보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음.
ㅇ 민간 기업의 후원기여금 목표를 초과 달성하고, IOC와 교섭강화를 통한 탑 스폰서십을 추가 확보, 그리고 조직위와 IOC 공동투자 사업 발굴 등 수입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ㅇ 1억 이상 집행사업에 대해서는 재정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지출하도록
※ 조직위는 기업 후원을 포함한 다각적인 대회 재정 확보를 통해 균형 재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만큼, 언론에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림.
[dogma0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