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청일 전쟁 이후 육십갑자가 두번이나 지난 2014년. 한반도 주변의 격랑은 험난한 갑오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할 것인가?
정운갑 국제부장(수석논설위원)이 정리해드립니다.
【 기자 】
2014년 한반도 정세는 120년 전인 1894년 갑오년을 닮았습니다.
1894년 조선 안에 곪아있던 각종 문제들은 동학농민운동으로 폭발했습니다.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던 청나라와 일본은 한반도에서 청일 전쟁을 벌입니다.
일본은 전쟁에서 승리해 얻은 한반도 지배권을 바탕으로 1910년 한일합병을 선언합니다.
2014년 갑오년의 현실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내부 분열과 갈등은 고종때보다 더 심각합니다.
1년간 정치권은 집요한 싸움밖에 한 일이 없고 시민사회는 쪼개졌습니다.
심지어 종교계까지 분열의 소용돌이 속에 빠져들었습니다.
밖으로는 미국과 중국, 이른바 G2 패권 충돌이 더욱 거세졌습니다.
중국은 세계질서 재편 '중국의 꿈'을 내세우며 패권을 확대하고 있고, 미국은 이에 맞서 '동아시아로의 귀환'을 선언했습니다.
센카쿠 열도, 중국명 댜오위다오에서 불붙은 영토분쟁이 방공식별구역 문제를 타고 이어도를 거쳐 서해까지 북상하고 있습니다.
군국주의를 노골화하는 일본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며 갈등에 불을 지폈습니다.
젊은 김정은이 이끄는 북한의 핵 문제는 또 하나의 뇌관이 되고 있습니다.
주요 외신들은 김정은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핵실험 가능성을 주목했습니다.
장성택 처형 뒤 불안한 내부를 잠재우기 위해 핵에 더 집착할 것이라며 우려스런 시선을 보내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한·미·일 3국 동맹 속에서 중국과 북한을 견제해온 한국.
120년이 지난 지금, 동북
건강한 보수와 합리적 진보가 균형을 이루며 내재적 힘을 하나로 모아야합니다.
남북 관계에서 주도권을 확보해나가고, 한국과 미국 등 전통적 양자외교에서 이제는 다자협력을 증진시키는 포괄적 논의가 시급합니다.
정부 차원 뿐 아니라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민간차원의 다자 협력 노력도 긴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