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연쇄 테러에 이어 다시 침체국면에 진입한 일본 경제가 내달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파리 테러 직후만 해도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으나 일본 경제가 주춤하다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내달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를 실었던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강력한 딜레마에 봉착했다.
여전히 내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게 보는 측에서는 테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테러가 소비를 위축시키고 경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과거 9·11 테러와 보스턴 마라톤 테러, 그리고 런던 테러 등 주요 대형 테러사건 직후에도 주가가 단기적으로 급락했으나 1개월 이내에 테러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경험이 있다.
연준의 신뢰성 측면에서도 이번에 금리인상을 강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옐런 의장이 수차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했는데 또다시 금리인상을 미룬다면 중앙은행 신뢰에 금이 갈 수 있다는 논리다. 테러 직전까지 경제전문가 93%가 금리인상을 전망한 것도 뒤집기 어려운 대목이다.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판단할 때 고려하는 요소가 외부 변수보다는 미국 내 고용지표와 물가지표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도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준은행장은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기업대출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금리 인상을 서두르는 게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리인하 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전망도 적지않게 제기되고 있다.
9·11 테러 당시 앨런 그린스펀 미국 연준 의장은 과감한 금리인하를 단행했다. 이에 발맞춰 영국 영란은행과 일본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인하하거나 통화공급 확대를 단행한 사례가 있다. 테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 하더라도 이는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 효과에 힘입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2005년 런던 테러 때도 유럽중앙은행(ECB)과 미국 연준이 예정됐던 기준금리 인상을 한달 이상 연기한 바 있다.
파리 테러 뿐만 아니라 일본 경제가 침체국면에 재진입했다는 신호는 더 큰 변수가 되고 있다. 한동안 간신히 회복세를 보였던 일본 내수가 다시 위축된다면 글로벌 경기 뿐만 아니라 미국 경제에 미치는 여파가 장기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일본의 교역 규모 등을 감안할 때 일본 경제의 위축은 연준이 금리인상의 주요 근거로 삼고 있는 미국 내 고용지표와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여부가 다시 불투명해지면서 오는 17일 예정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하거나 상승할 조짐이 나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