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이 한국과 일본이 외국인 이민자들을 수용해 다가오는 고령화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계은행은 8일(현지시간) 발표한 ‘장수와 번영: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고령화’ 보고서에서 “상대적으로 선진화된 한국과 일본이 젊은 이민자들을 유인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을 개방하는 것이 이익이 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주요 8개국에서 한국은 이민자 인구 비중이 1.1%로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일본과 태국이 각 1.7%로 낮았다. 반면 싱가포르(40.7%)와 홍콩(38.8%)은 8개국중 1~2위로 이민자 비중이 높았고, 호주(25.7%)와 뉴질랜드(22.4%)의 비율도 비교적 높았다. 말레이시아는 8.4%였다.
세계은행은 아시아 국가들이 공통으로 취할 수 있는 고령화 대책으로 여성의 노동 참여 확대와 보건제도 개선을 꼽았다. 이를 위해 병원 위주로 수립된 보건정책을 지역 의원이나 보건소 같은 1차진료 체계로 옮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은 지난 4월 보고서에서 한국의 15∼64세 인구가 2010년부터 2040년 사이에 15%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에서 14%로 늘어나는 노령화 속도면에서 한국을 베트남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국가군에 포함시켰다.
한편 이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중국 경제가 연착륙할 것이며 선진국 경제도 저성장이 예상된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OECD는 ‘경기선행지수 분석보고서’를 통해 중국 경제는 우려와는 달리 경착륙 가능성이 낮으며 성장세가 꾸준히
또 선진국 가운데 미국과 영국은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선행지수로 따지면 곧 다시 경기침체기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러시아도 유가 하락으로 경제난이 지속될 것이며, 독일과 일본은 저성장이 계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덕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