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채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2008년과 같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 중국 경제가 일본식 장기침체 국면에 빠질 것이란 비관적인 전망 역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공급 측면 개혁’이라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의미있는 부채가 증가했다는 입장이다. 현재 빚이 늘어나고 있지만 개혁을 통해 경제의 체질 개선이 이뤄지면 중장기적으로 재무 건정성이 호전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공공·기업·가계)부채 비중이 237%로 조사됐다”며 “2007년 말 부채비율이 148%였던 점을 감안하면 급격한 속도로 부채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2010년과 2013년 말 기준으로 각각 161%, 188%를 기록하며 완만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2015년 초 부채비율은 200%를 넘어서더니 올해 3월에는 230%를 돌파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제일재경은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올해 GDP 규모의 3%를 적자재정으로 편성하고, 은행 대출을 통해 유동성을 대폭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3월말 현재 중국의 국내외 순부채는 163조위안(약 2경871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FT는 “올해 1분기 중국의 신규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가 증가한 6조2000억위안(1094조원)”이라며 “이같은 부채 증가 속도는 역대 가장 빠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가파른 부채 증가가 중국을 장기불황의 늪으로 빠뜨릴 수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FT는 북경대학 광화관리학원의 마이클 페티스 교수의 말을 인용 “부채가 감당하지 못할 만큼 늘어나면 차입자들의 가처분 소득과 소비가 크게 줄어 나라 경제가 하강 압력을 받게 된다“며 ”이런 상황이 고착화되면 일본식 장기침체를 겪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반면 부채를 둘러싸고 중국 내부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서구와 다소 상이하다. 제일재경은 “현재 중국 정부는 공급 측면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구조조정 비용과 각종 인프라 투자자금이 부채로 충당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기업 부채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대규모 해외기업 인수합병(M&A)이 주요 원인이란 분석이다. 금융시보는 “지난해 한 해 중국 기
[김대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