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달 전격적으로 실시한 급진적 화폐개혁이 뜻하지 않은 부작용에 시달리고 있다.
인도의 검은 경제를 없애기 위한 과감한 조치였지만, 오히려 돈세탁이 더 급증하는 등 불법 지하 경제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싱가포르 스트레이트 타임즈는 6일 “정부가 큰 규모의 예금과 출처를 알 수 없는 돈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돈 세탁이 급속히 퍼져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디 총리의 화폐 개혁은 기존 500루피와 1000루피의 지폐 사용을 금지하고 새로운 고액권 화폐 도입 및 신용카드 사용 등을 골자로 한다. 그동안 인도 경제는 현금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 탈세 등 검은 거래가 이뤄지기 쉬운 환경이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동안 쓰던 고액권 화폐를 예고없이 폐지시켜버렸고, 신용 거래를 장려했다..
하지만 화폐개혁이 오히려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한 꼼수를 더 양산해 오히려 지하경제를 더 부추기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 것이다.
신문은 “검은 지하경제를 줄이고 보다 많은 국민들을 공식적 세금 망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정책이 역설에 직면했다”고 덧붙였다.
신문에 따르면 인도의 화폐 개혁 후 탈세 등을 위한 갖가지 검은 거래가 선보이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지하금융 방식은 이슬람의 전통적 자금 운송 수단인 하왈라다.
하왈라는 은행을 통하지 않고 자금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내면 돈을 입출금 할 수 있다. 모디 정부가 은행에서 돈을 바꾸는 횟수를 엄격히 제한하면서 자신이 가진 돈을 새돈으로 바꾸지 못한 서민들이 하왈라를 적극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상품가격을 부적절하게 산정하거나 드러나지 않는 회계 절차에 의해 돈 세탁을 하는 방식이 최근 하왈라 시스템 운용에 적용된다고 한다. 신문은 ‘하왈라의 진화’라고 꼬집었다.
또 세금 면제 혜택 있는 농부나 농업 종사자들의 계좌에 자신의 돈을 불법으로 넣는가 하면, 세금 혜택있는 한도까지만 계좌를 여러개 개설하는 이들도
[문수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