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압박 미국산 아이폰 나올까…대만 훙하이 그룹 미국 대규모 투자 검토
↑ 사진=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제안처럼 아이폰의 미국 본토내 제조가 실현될까요.
애플의 아이폰을 하청 제조하는 대만 훙하이(鴻海·폭스콘) 그룹이 최근 손정의(孫正義) 일본 소프트뱅크 사장에 이어 미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미국산 아이폰의 등장 가능성이 무르익고 있습니다.
훙하이그룹은 9일 손 사장의 500억 달러 미국투자 발표 과정에서 흘러나온 자사의 대(對)미국 투자 검토 보도에 대해 "구체적 투자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훙하이는 "우리 경영진과 미국의 관계 당국이 협상을 마무리하는대로 빨리 소식을 전하겠다"면서 "투자계획의 합의는 양측이 모두 동의하는 조건에 따라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훙하이의 미국 투자액은 70억 달러(8조1천300억원)설이 나오고 있습니다. 연매출 157조원의 훙하이로서도 적지 않은 액수입니다.
훙하이의 대미 투자 계획은 트럼프가 애플에 제시한 압박성 제안과 연관돼 있다는게 대체적인 관측입니다.
트럼프는 대선 과정에서 "애플이 중국이 아닌 미국 땅에서 컴퓨터와 아이폰을 만들기를 바란다"면서 미국으로 돌아오는 기업에 대한 세율을 현재의 26%에서 10∼15%로 깎아주겠다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트럼프는 당선 직후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로부터 당선 축하 전화를 받으면서도 "내가 애플의 큰 공장들을 미국에 건설하도록 만들 수 있다면 내게는 굉장한 성과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는 여기에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예고하며 미국 대기업의 외국 공장을 미국 본토로 옮기도록 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아직 애플과 훙하이는 이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고 있으나 물밑에서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훙하이의 미국 투자 계획도 트럼프의 미국공장 압박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관측됩니다.
애플은 대만의 하청 제조업체인 훙하이와 허숴(和碩)에 미국 생산이 가능한지를 자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애플의 고민은 미국 이전시 엄청나게 치솟게 될 생산비용에 있습니다. 중국의 인건비 수준이 높아진다고 하지만 베트남이나 인도가 아닌 미국으로 공장을 돌리는 것은 국제 분업 구조에도 역행하게 됩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플레이스의 예측으로는 공장 이전시 미국에서 969달러에 판매되는 아이폰7 플러스의 가격이 2천달러로 치솟게 됩니다.
미국 투자연구기관 트레피스도 애플이 아이폰 생산라인을 미국으로 옮길 경우 제품 원가는 대당 80∼90달러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생산비용의 지나친 상승에 따른 충격은 애플의 모든 공급 및 판매 네트워크로 파급되기 때문에 모든 공장의 미국 이전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전했습니다.
현재 애플의 전세계 부품공급상은 모두 28개국 766곳에 이르는데 이중 중국이 346곳, 일본 126곳, 대만 41곳이고 미국에 있는 납품업체는 69곳에 불과한 형편입니다. 미국 제조시 물류비용이 높아지고 납품주기도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미국에서 마땅한 공장 부지나 제조 인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난제도 있습니다. 쿡 CEO는 지난해 한 방송인터뷰에서 "미국은 이미 기본적으로 직업교육 훈련의 전통을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중국 폭스콘 공장에서 아이폰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인력은 15만명을 넘는다. 미국 어디에서 이런 인력을 모을 수 있겠느냐. GE, GM, 포드의 모든 공장 인력을 합하더라도 폭스콘 4개 공장 직원 총수의 20%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미국 어디에서 6만명을 수용할 공장을 세울 수 있겠느냐"고 말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궈타이밍(郭台銘) 훙하이그룹 회장이 트럼프 당선인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을 빌어 '메이드인 USA' 아이폰의 등장이 어렵다는 점을 역설하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 컬럼니스트 팀 쿨판은 편지 형식의 이 기사에서 "저는 당신을 위해 아이폰을 생산하는 사람입니다"라고 소개하며 당선 축하 인사를 전한 뒤 공장 이전 요청을 조목조목
"당신이 고율의 수입관세를 부과하더라도 미국 기업이 해외에서 하청 제조하는 현 상황을 바꾸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미국 노동자에게 수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실현되기 어렵습니다. 세제우대, 취업보조, 전기요금 할인, 토지비용 면제 같은 조치만이 이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