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 10일 하원에 출석해 "무역 긴장과 글로벌 성장 우려 같은 '역류'(crosscurrent)들이 경제 전망과 활동을 짓누르고 있다"면서 경기 확장세를 뒷받침하기 위해 "적절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글로벌 금융시장은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겠다는 '깜빡이'(신호)를 켠 것으로 해석하면서 이달 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포인트 인하를 유력하게 점치고 있다.
'비둘기'(금리 인하 등 경기부양책 선호)로 변신한 것은 미국 중앙은행뿐만이 아니다.
11일(현지시간) 공개된 ECB 정책위원회 6월 의사록을 보면 정책위원들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하와 2조 6000억 유로(약 3438조 5000억 원) 규모의 채권매입 프로그램 재개 등 추가 부양책을 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 인플레이션이 ECB의 목표치인 2%를 밑돌고 있다며 미래에 닥칠 수 있는 악조건에 대비하면서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완화적 통화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한국은행도 마찬가지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7%에 그치는 등 물가가 올해 들어 6개월 연속으로 0%대 상승률에 머물고 있고 반도체 경기 부진으로 수출이 7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하는 등 얼어붙은 경기가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장기화하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앞으로 수출 전망도 어두운 상태인 데다 최근 일본의 전략물자 수출 규제 조치로 첨단산업 분야가 타격을 받을 우려가 커지면서 한국은행이 나서야 한다는 압박이 커지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6월 12일 한은 창립 제69주년 기념사에서 미중 무역 분쟁 격화와 반도체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을 우려하며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성장세 둔화에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기 타격까지 겹치면서 감세와 기업 대출 확대, 지준율 인하 등 유동성 공급을 늘리는 경기 부양 조치를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
이처럼 각국 중앙은행이 부양책 실시에 나서고 있는 것은 전 세계적인 수요 부진과 무역 전쟁 등으로 향후 글로벌 경기의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란 전망이 폭넓게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가올 경기 부진의 심각성이나 그 정도에 대해선 논란이 있지만 글로벌 경기가 각종 위험 요소에 직면해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는 만큼 이제 중앙은행들의 부양책이 '경기 부진과의 전쟁'에서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 것인지가 관심이다.
아직은 미국의 고용이나 물가 등 경기상황이 양호한 상태여서 연준이 검토하는 금리 인하가 향후 다가올 경기 부진에 대비하는 '예방적' 조치로 해석되는 측면이 있다. 또 향후 경기 부진이 대세 상승 국면 속에서 일시적인 부진양상을 보이는 '소프트 패치'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경기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기업·소비심리 위축과 글로벌 교역 감소를 유발하며 1년 넘게 지구촌 경기의 발목을 잡고 있는 데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중국 등 신흥국 경기 부진 등 악재들이 지속되면 단발성
올리 렌 핀란드 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독일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유로존의 경기 둔화를 '일시적인 하락'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면서 유럽중앙은행이 상황 악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세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