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울산시, 경남도가 '2028 하계 올림픽' 공동 유치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부족한 경기시설이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올림픽을 유치할 경우 주경기장으로 활용할 부산의 사직 주 경기장을 비롯해 3개 시·도의 경기장 대부분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기준에 미달하기 때문입니다.
7일 부산시, 울산시, 경남도 등에 따르면 올림픽을 치르려면 최소 28개 종목에 32개 경기장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하지만 부산, 울산, 경남의 경기시설은 28개(부산 17개, 울산 3개, 경남 8개)에 불과합니다.
그나마 10개(부산 7개, 경남 3개) 경기시설은 IOC 기준에 미달해 증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산시는 10개 경기장 증축에 8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수영, 농구, 핸드볼, 유도(레슬링), 배구 등 5개 종목은 IOC 기준에 맞는 경기장이 없어 신축해야 하며 여기에 7천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또 영구시설은 아니지만 올림픽을 치르려면 임시라도 갖춰야 할 사이클(BMX). 카누·카약, 비치발리볼, 철인 3종(수영·사이클·달리기) 등 4개 종목 경기장도 신설해야 합니다.
이 4개 종목 경기장 신설에도 525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부산의 경기시설 현황을 보면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을 치렀던 17개 시설 가운데 사직 아시아드 종합경기장 내에 있는 주경기장 등 7개 시설이 IOC 기준에 미달합니다.
올림픽을 유치했을 때 개·폐회식과 축구·육상 경기 등을 치러야 하는 사직 종합경기장 내 주 경기장의 수용능력은 5만3천769석으로 IOC 기준 6만 석에 못 미쳐 증축해야 합니다.
아시아드 종합경기장 내 수영장은 수용능력이 3천 석으로 IOC 기준 1만2천 석에 한참 못 미칩니다.
이 경기장은 현재로서는 IOC 기준에 맞춘 증축도 불가능해 올림픽을 위해서는 새로 지어야 합니다.
올림픽 수영경기장은 1만2천 석 규모의 수영장, 5천 석 규모의 싱크로나이즈 경기장, 5천 석짜리 다이빙 경기장을 따로 갖춰야 합니다.
아시아드 종합경기장 체육관은 현재 1만4천99석으로 꽤 큰 규모여서 배드민턴 등 웬만한 종목은 수용할 수 있지만 ICO 기준 1만5천 석 이상(결승전)인 농구와 배구 경기장으로는 활용할 수 없습니다.
현재 부산뿐만 아니라 경남, 울산을 통틀어 농구와 배구 경기를 치를 수 있는 1만5천 석 이상 실내 경기장은 한 곳도 없어 이 역시 신축해야 합니다.
부산금정체육공원 내 테니스경기장도 5천94석으로 IOC 기준 1만 석의 절반에 불과합니다.
강서체육공원 내 하키 경기장과 양궁 경기장, 기장군의 사이클(BMX) 경기장, 서낙동강 조정·카누 경기장 역시 IOC 기준에 미달합니다.
부산, 울산, 경남지역 유일한 사격장인 경남 창원 사격장도 기준에 모자랍니다.
부산시는 IOC 측이 2020년 도쿄 올림픽 이후 경기장 수용능력 기준을 강화할 움직임
한편 부산시와 울산시, 경남도는 지난 12일 올림픽 유치 실무 협의회 가동과 함께 6월께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올림픽 공동 유치에 나설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