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여의도에는 리버페리(고속페리)와 수륙양용버스가 드나드는 통합 선착장이 들어선다. 한강둔치 콘크리트를 헐고 자연하안을 복구한 자리에는 버드나무림 내부 습지가 장관을 이루며 윤중로를 따라 테라스몰과 생태터널 등 걷기 즐거운 거리가 조성된다. 정부와 서울시가 지난 1년간 머리를 맞대고 고안해낸 한강종합개발 계획의 첫 스타트다. 총 예산 3981억원을 투입해 여의~이촌 권역 개발을 중점 개발하고 이어 한강변 6개권역도 순차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24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은 프레스센터에서 한강협력회의를 열고 지난 1년간 4개 관계부처와 서울시가 마련한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2019년까지 ‘여의마루’로 명명한 여의도-이촌지구를 중심으로 한강의 관광자원을 활용하고 생태계를 복원해 4000개 이상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한류 인기가 지속되면서 서비스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삼을 기회가 열리고 있다”며 “더 많은 관광객이 한강을 찾아와서 보고 즐기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 문화, 유통, 레저, 예술 등 등 많은 분야에서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 한강협력계획은 중앙정부와 서울시가 함께 협력해 추진하고 합의 발표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밝혔다.
여의-이촌지구에는 육상 대중교통과 수상교통을 쉽게 갈아탈 수 있는 종합선착장과 한류를 이끌 대형 복합문화시설이 들어선다. 63빌딩에 들어서는 한화 면세점 및 노량진 수산시장 정비사업과 연계해 여의도를 중심으로 경의선숲길을 통해 홍익대 인근과 용산권까지 확산되는 거대한 문화·관광로가 부상한다.
여의-이촌권역은 서울 3대 도심으로 접근성과 유동인구, 기존 계획과의 연계 가능성 때문에 선택됐다. 돋보이는 시설은 부두형 수상데크인 ‘피어 데크’와 한류문화 전시공간인 ‘이음’이다.
피어데크·통합선착장은 700t 선박까지 접안할 수 있게 조성된다. 이곳은 지하철 여의나루역에서 이어지는 보행데크로 연결되 접근성을 높였다. 지하철역 인근에서 자전거나 공원순환 전기관람차 등으로 환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륙양용버스, 리버버스(고속페리)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통합 선착장에는 요트 체류장은 물론이고 광장 및 야외공원장이 마련되며 카페와 레스토랑 등 편의시설이 갖춰진다.
이음은 드라마를 재현하는 식의 한류 콘텐츠 전시장과 영상·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스튜디오, 이벤트홀, 기념품숍 등으로 채워진다.
윤중로변에는 한강을 조망하며 쉴 수 있는 여의테라스와 테라스가든이 들어서고 이동형 컨테이너로 만든 무빙스토어(이동식 상점)도 설치된다. 갤러리 공공예술 공간은 물론 각종 카페 레스토랑 등 편의시설도 함께 마련된다. 홍수 영향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방상부를 확장하되 홍수위보다 높게 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올림픽대로와 샛강으로 단절된 노량진과 여의도 사이를 잇는 보행교 설치도 추진된다.
서울시는 자연성 회복을 위해 여의샛강 습지 조성으로 수질을 정화하고, 샛강 합류부에는 생태숲·갈대·억새밭 등을 조성해 생물 서식지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촌지역에는 공원 둔치 콘크리트를 걷어내고 버드나무 등 다양한 식물을 심는다. 기존에 하천 흐름 정체로 퇴적, 수질오염, 악취가 발생하던 공간이 생태숲으로 변하게 된다.
정부와 시는 또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해서 배다리를 연결해 조선 정조임금의 화성행차를 노들섬에서 재현하고, 한강 다리 위에서 마켓·피크닉·콘서트를 여는 ‘브릿지 페스티벌’을 운영하는 등
서울시 측은 “한강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장기적으로 강변도로를 지하화하고 나들목 신·개설, 덮개공원등을 통한 접근성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한나 기자 / 조시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