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새 10년이 지났는데요, 저희 mbn이 외환위기 10년을 맞아, 우리 경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진단하는 특집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먼저 97년 외환 위기 당시의 상황을 윤호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IMF 구제금융 신청 전, 취재진과 임창열 전 경제부총리 모습)
인터뷰 : 임창열 / 97년 외환위기 당시 경제부총리
- "정부는 최근 겪고 있는 금융 외환시장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국제통화기금에 유동성 조절 자금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기로 결정했습니다."
97년 11월 29일. 6·25 이후 최대의 국가 위기였던 외환위기는 이렇게 공식 선언됐습니다.
93년 김영삼 정권이 들어서며 급속한 세계화·개방화가 추진됐고, 우리 경제는 거품만 키워 갔습니다.
(한보 사건 관련 외환은행 노동조합 결의대회 - 구호 현장음)
인터뷰 : 김선홍 / 97년 외환위기 당시 기아차 회장
- "기아 정상화를 염원하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해외에서는 재앙을 예고했지만, 국내 어디에도 위기의 경종은 울리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 강봉균 / 대통합민주신당 의원
- "그 때 정보통신부 장관을 하고 있었는데, 경제장관회의나 국무회의에서 우리에게 외환위기가 올 것이라는 토론이나 고민이 거의 없었습니다."
인터뷰 : 김상조 / 경제개혁연대 소장
- "우리가 국제경제환경의 변화에 스스로 준비를 갖추지 못 한 상태에서 무리한 개방정책을 취한 것이 결국 한국경제를 6·25 이후의 최대 국난으로 몰고 간 근본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 임창열 / 97년 외환위기 당시 경제부총리
- "정부의 대처가 좀더 미리 있었더라면 경제주권을 IMF에 넘겨주는 일은 겪지 않았을 것입니다."
구제금융을 요청한 3주 뒤, IMF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우리 경제는 수술대 위에 올랐습니다.
인터뷰 : 미셸 캉드쉬 / 97년 외환위기 당시 IMF 총재
- "IMF는 한국에 50조 5천억 원을 지원할 것입니다."
97년 상반기 800원대였던 환율은 12월 24일, 천 965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우리나라 30대 기업 가운데 16개가 사라지거나 이른바 '빅 딜'이란 명목으로 흡수합병됐습니다.
서민들은 '실업 선고'를 받았습니다.
(노숙자 모습)
결국 정부는 국가 부도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168조 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합니다.
인터뷰 : 이필상 / 고려대 경영학부 교수
- "불가피했습니다. 일단 부실화된 경제, 위기에 처한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구조조정도 필요했지만, 부실채권을 덜어줘야 할 돈도 필요했습니다."
천문학적 규모의 혈세와 실직자들의 고통과 인내가 결국 국난 극복의 자양분이었던 셈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외환위기가 정확히 왜 발생했는지, 그리고 누가 책임을 져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윤호진 / 기자
- "IMF 외환 위기를 통해 우리는 크나 큰 교훈을 얻었습니다. 무능력한 정부, 그리고 기업들의 무책임한 투자는 국가를 위기로 내몰고, 결국 그 고통은 서민들의 몫일 수 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mbn뉴스 윤호진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