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에 쌓인 뇌의 신비를 풀기 위해 정부가 특화 뇌지도 등 핵심 뇌기술을 조기확보하기로 했다. 뇌지도를 통해 뇌의 특정 부위가 뇌질환과 어떻게 연결돼있는지를 파악해 고령화에 따른 맞춤형 뇌질환 극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뇌과학 발전전략’을 30일 발표했다.
정부는 ‘뇌연구 신흥강국 도약 준비’를 목표로 2023년까지 특화 뇌지도를 구축하기로 했다. 뇌지도는 뇌의 구조적·기능적 연결성을 수치화·시각화한 데이터베이스로 뇌질환의 정확한 진단·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정부는 선진국과 차별적으로 대뇌피질(후두정엽)의 설계도 확보를 위한 고위 뇌기능 특화지도와 노화뇌질환 특화뇌지도 2종을 2023년까지 확보하기로 했다.
정부는 선진국이 먼저 뇌 연구를 시작했지만 뇌의 기능이 무궁무진한만큼 이를 세분화해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충분히 있다는 판단이다. 미국이 시각기능 대뇌피질, 일본이 인지기능과 관련된 전전두엽에 집중한만큼 우리나라는 대뇌피질(후두정엽)에 집중해 성과를 낸다는 전략적 선택이다. 김경진 한국뇌연구원장은 “뇌연구와 인공지능(AI) 연구가 맞물려 산업화가 되려면 우리만의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뇌신경망은 복잡하기에 미국 등 선진국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로 향후 뇌연구는 컨소시엄 형태로 이뤄질 가능성이 큰데 우리도 당당히 그 일원이 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작성된 뇌지도 활용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단위 뇌세포 분자수준 이미징 기술 ▲미니뇌(오가노이드) 제작·활용기술 ▲ICT 융합을 통한 뇌기능 증진기술 ▲로봇팔 제어를 위한 뇌감각 신호 활용기술 ▲한국인 특이적 뇌질환 치료기술 등을 선정했다.
또한 치매, 파킨슨병 등 노년기 퇴행성 질환과 소아·청소년기의 정신지체, 자폐증, 청장년기의 우울증, 중독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뇌질환 극복기술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사람 뇌의 작동원리를 인공신경망 모델링과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해 인공지능 기술의 도약을 마련할 계획도 발표했다.
이번 전략에는 뇌 연구 기반 확충 방안도 포함됐다. IT·BT·NT 등의 기술과 뇌과학을 접목한 융합형 전문연구인력을 양성하고 병원 이외의 연구기관에서 뇌 조직을 이용한 연구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정비하기로 했다. 뇌 은행 운영규정과 윤리지침도 제정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뇌과학 발전전략을 위
[이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