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의 차이가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저소득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고소득 여성보다 2.7배나 높았다.
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국립보건연구원 박현영 과장(심혈관·희귀질환과 보건연구관)팀이 2001∼10년 새 추적조사가 완료된 한국인 유전체역학조사사업 자료(지역사회 코호트 연구)를 대사증후군의 발생률과 사회·경제적 수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사회경제적 수준과 대사증후군 발생률의 연관성)는 대한비만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당뇨병·심혈관계 질환 병력(병력)이 없는 40∼69세 남녀 5544명(남 2733명, 여 2811명)명을 평균 6년간 추적했다. 이 기간에 남성 864명, 여성 875명이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았다. 1000명당 52∼53명이 대사증후군 환자로 새롭게 판정된 것이다.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성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여성의 학력·소득 수준별로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대학 졸업이상의 여성에 비해 고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 졸업 학력의 여성 대사증후군 발생률이 각각 1.07배·1.73배·1.74배 높았다. 남성는 학력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률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소득 수준별로는 월 가계소득 400만원 이상의 고소득 여성에 비해 월 가계소득 200만∼399만원·100만∼199만원·100만 원 미만 순으로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1.56배·1.86배·2.74배 높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국내에서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률이 여성에선 교육·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증가했다"며 "남성에선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사람에서만 대사증후군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대사증후군 발생에 있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경제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사회·경제적 수준은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지방·첨가당·정제곡류 등이 많이 포함된 저가의 고열량 식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프랑스 연구에서도 교육수준이 음식의 선택과 건강행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런 경향은 남녀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등과 같은 질환의 집합체(clus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