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한진해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이후 부쩍 오른 해상운임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해 수출실적이 100만 달러 이상 화주업체 332곳을 대상으로 한진해운 퇴출 이후 물류 환경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9월 이후 해상운임이 올랐다는 응답률이 65.4%에 달했다.
국내 운송 시장 가장 큰 '짐꾼'인 한진해운이 사라지면서 불황에 짐 나르는 비용이 가중된 셈이다. 법정관리 이전 한진해운은 부산항 전체 컨테이너 물량 9.3%(181만 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를 실을 수 있는 규모)를 처리해왔다.
한진해운이 무너지면서 국내 물동량 상당수는 중국 등 다른 선사가 가져간 것으로 추산된다.
응답 기업의 51.8%는 한진해운 몰락 이후 '국적선사 이용률이 줄었다'고 답했고, 이 중 절반가량은 '외국적 선사 이용률이 3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기업 24.4%는 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운임이 상승한 지역으로 아시아를 손꼽았다. 운임 상승 폭은 30% 미만이 74.2%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30% 이상 올랐다는 응답도 20.3%나 됐다.
운임이 상승했다고 밝힌 업체는 주로 '다른 선사 이용을 확대'(57.6%)하거나 '수출 가격을 인상'(12.3%)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특별한 대응
응답 기업 45.7%는 운임 상승이 수출 가격 인상을 불러 결국 가격경쟁력을 깎아먹지는 않을지 가장 걱정했다. 한진해운 사태 이후 선복(적재공간) 부족으로 운송 차질 문제를 겪는 업체도 전체의 57.5%로 분석됐다.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