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밀도가 낮을수록 뇌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뇌동맥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폐경 후 여성이나 50세이상 남성에서 두드러졌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박경일 교수(강남센터), 정근화 교수 연구팀은 2004~15년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에서 뇌 MRI와 골밀도 검사를 받은 성인 1만 2,785명의 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골밀도가 낮을수록 뇌동맥류가 있을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뇌동맥류의 크기와 개수도 늘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혀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연구 대상자 중 3.7%(472명)에서 뇌동맥류가 발견됐는데, 이를 골밀도 측정수치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눠 비교했을 때 골밀도가 가장 낮은 그룹은 골밀도가 가장 높은 그룹보다 뇌동맥류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1.3배 높았다. 골밀도 저하 위험군인 폐경여성 또는 50세 이상의 남성 8,722명 중에서는 4.6%인 398명에서 뇌동맥류가 발견됐는데,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T score -1미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 뇌동맥류의 크기도 더 크고 개수도 여러 개일 가능성이 전체 그룹에 비해 1.8배 높았다.
뇌동맥류는 뇌의 혈관 중 약화된 부분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성인의 약 2~5%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뇌동맥류는 증상이 없지만 부풀어 오른 혈관이 혈액압력을 이기지 못해 터지게 되면 약 40%가 사망하게 되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뇌출혈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이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파열 위험도를 평가해 크기 변화를 추적 관찰하거나 시술 또는 수술을 통해 조기에 파열을 예방할 수 있다.
그 동안 뇌동맥류는 주로 40~60대에서 주로 발생하며, 특히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골밀도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뼈와 뇌동맥벽에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 성분이 공통적으로 분포하며 이러한 성분의 손상이 골다공증과 뇌동맥류 발생에 공통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에 착안해 두 질환 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박경일 교수는"기존에 알려졌던 뇌동맥류의 위험요인, 즉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뇌동맥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물론, 갱년기 이후의 골밀도가 낮은 여성과 중년이상의 골밀도가 낮은 남성들은 뇌동맥류의 조기발견을 위해 뇌MRA 촬영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권고했다. 정근화 교수는 "뼈 건강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