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 거처' 거주 가구(집단시설·외국인 가구 포함)는 전년보다 2만6천793가구(5.6%) 늘어난 50만6천250가구였습니다.
통계청은 가구의 거처를 '주택'과 '주택 이외 거처'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때 주택 이외 거처는 오피스텔, 호텔·여관 등 숙박업소, 기숙사 등 특수 사회시설, 판잣집·비닐하우스, 기타 등으로 나뉩니다. 기타에는 음식점 등 상가에서 먹고 자는 영세 자영업자도 포함됩니다.
오피스텔을 제외하면 모든 '주택 이외 거처'는 사실상 제대로 된 집이 없이 생활하는 주거 취약가구인 셈입니다.
지난해 주택에 사는 가구는 1천922만 가구로 전년보다 24만1천 가구(1.3%) 늘었습니다.
증가 속도를 비교하면 주거 취약가구(5.6%)가 주택 거주 가구보다 4배 이상 빠릅니다.
서울 지역은 주거 취약가구의 증가세가 더 두드러졌습니다.
서울 지역에서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 거처에 사는 가구는 지난해 9만4천191가구로 전년보다 5천157가구(5.8%) 늘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주택에 사는 가구는 0.1%(4천52가구) '찔끔'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주거 취약가구가 6% 가까이 늘어나는 동안 주택에 사는 가구는 사실상 제자리걸음 한 것입니다.
주거 환경의 악화는 최근 수년간 계속되고 있는 집값 상승세와 적지 않은 관련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집값이 개인 소득이 오르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한 탓에 일시적으로 아예 집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최근 여관이나 고시원 등에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최승섭 부동산감시팀 부장은 "집값이 오르면서 1인 가구 등이 제대로 된 집을 갖지 못한 주거 취약가구로 밀려나고 있다"며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고시원 등에서 생활하는 가구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