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 사외이사가 되려면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출신이거나 시민단체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어야 매우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이 8일 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정부 들어 선임된 공공기관 사외이사 중 캠코더나 시민단체 출신이 51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외이사 중 당연직 사외이사를 제외하면 4명 중 1명꼴이다.
박근혜정부의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 사외이사와 비교해 볼 때 퇴직관료, 기업인, 언론인은 줄어든 반면 시민단체, 대학교수, 법조인 출신이 크게 늘어난 게 특징이다.
시민단체 출신은 4명에서 19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법조인도 8명에서 17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대학교수도 51명에서 62명으로 늘었다. 일부 사외이사는 주요 경력에 '문재인 대통령후보 캠프 활동'이라고 노골적으로 적기도 했다.
공공기관 중 캠코더 또는 시민단체 출신이 가장 많이 포진한 곳은 한국디자인진흥원으로 5명이나 됐다. 이 밖에 한국전력(4명) 한국석유공사(3명) 한국수력원자력(3명) 대한석탄공사(3명) 한국가스안전공사(3명) 한국에너지공단(3명) 한국석유관리원(3명) 한국동서발전(2명) 한국중부발전(2명) 한국전력기술(2명)을 비롯해 에너지공기업에 주로 많이 선임됐다. 이들 대부분은 탈(脫)원전을 주장하는 시민·환경단체 활동 경력이 있거나 지난 대통령선거 때 문재인 후보 캠프에 참여했던 인물이
김 의원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등에 업고 캠코더나 환경·시민단체 출신이 정부 요직은 물론 에너지 공공기관까지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며 "공공기관 사외이사가 되려면 다른 전문성보다 캠코더나 시민단체 활동이 유리하다는 소문이 현실로 드러난 꼴"이라고 꼬집었다.
[고재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