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출토복식(出土服飾)을 국내 최대 규모로 소장하고 있는 단국대학교가 3.1절을 앞두고 전통수의의 발전적 계승 등 우리 전통장례문화 복원에 발벗고 나섰습니다.
단국대학교대학원 전통의상학과에서는 삼베수의(壽衣)가 우리 전통장례문화 유산이 아닌 일제잔재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출토복식을 고증해 신형 전통수의를 개발하고, 오는 17일부터 3월 6일까지 서울 대학로 상명아트홀, 3월 11일부터 4월 8일까지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특별전시합니다.
이번에 선보이는 전통수의 특별전시회 ‘땅으로 시집가는날’에서는 단국대전통복식연구소(소장 최연우 단국대대학원 전통의상학과 교수)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서 규정한 조선시대 예법과 절차,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이 소장한 수천점의 출토복식을 정밀하게 분석해 만든 비단수의로 총 52점이 전시됩니다.
남성은 ‘면복’, ‘곤룡포’, ‘단령’, ‘심의’, ‘철릭’ 등 25종, 여성은 ‘적의’, ‘원삼’, ‘당의’ 등 17점, 기타 부속품으로는 염습제구 및 치관제구 10종(염습제구 : 염습을 위해 쓰는 여러도구, 치관제구 : 관의 겉에 쓰는 여러도구) 등입니다.
신형 전통수의 개발에는 약 1년이 걸렸으며, 최 교수와 함께 전통의상학과와 전통복식연구소에 소속된 15인의 석·박사급 연구진이 제작에 참여했습니다.
전통문헌과 출토복식을 바탕으로 일러스트→패턴→가봉품→본품 제작과정을 거쳤고 광장시장, 남대문시장, 염색집, 금박집, 보석집 등 현장을 누비면서 자수실 하나하나의 색과 원단종류, 무늬, 색을 정성스레 택했습니다.
최연우 교수는 “1934년 일제가 '의례준칙'을 시행하며 비단수의 전통을 금지하고 포목(布木-삼베와 무명)으로 마련하도록 강제로 규정했다”며 “일제강점기에 삼베수의가 등장하면서 오늘날까지 삼베수의를 전통수의로 알고 고집하다보니 중국산까지 비싸게 유통되고 있어 안타까운 생각에 철저한 고증을 통해 전통수의의 발전적
최 교수는 “조선시대 무덤은 회삼물 (灰三物, 석회·황토·모래를 반죽한 물질)로 두르고 관(棺)도 옻칠을 여러번해 출토복식이 수천점이나 발굴되고 있는데 그중 삼베옷은 한두점밖에 없다”며 “삼베를 수의 소재로 쓰는 것은 전통에 위배되는 것이고 비단, 명주, 무명, 모시를 쓰는 것이 전통을 따르는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