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총선 투표율이 46%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투표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함에 따라,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보도에 라호일 기자입니다.
18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은 그야말로 충격 그 자체입니다.
잠정 집계결과, 투표율이 46%로 역대 총선 사상 최저였던 16대 때의 57.2%보다 11.2%P 낮습니다.
또 2002년에 치러진 지방선거 투표율 48.9%보다도 낮아 역대 전국 단위 선거 가운데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42.4%로 투표율이 가장 낮았고 광주와 부산도 42%대에 그쳤습니다.
반면, 제주도는 53.5%로 가장 높았고 경상북도와 강원도도 투표율이 50%를 넘었습니다.
서울은 45.7%로 평균치를 밑돌았고, 경기도는 43.7%를 기록하는 등 수도권의 투표율이 대체로 저조했습니다.
투표율이 30%대에 그친 선거구도 무려 20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대 총선이 이처럼 최악의 투표율을 기보인 것은 각 당의 공천이 늦어져 후보를 파악할 시간이 부족했던데다 대형 쟁점 없이 선거가 진행되면서 유권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 유창선 / 정치평론가 - "쟁점 없는 선거가 쭉 진행됐기 때문에 유권자들이 관심을 갖기가 어려웠던 선거였습니다.
또 정치에 대한 무관심과 정치인에 대한 불신, 여기에 악천후도 투표율
총선 투표율이 과반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민주주의의 근간인 대표성에 대한 논란도 제기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따라 의무투표제나 인센티브제 등 투표율을 높이기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mbn 뉴스 라호일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