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러시아 등지에서 거주하다 귀국한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이 국내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어렵게 살아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이 20일 국가보훈처에서 제출받은 보훈교육연구원의 '2016년 영주귀국 독립유공자 유족 생활실태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자가(自家)에 거주하는 후손은 19.6%에 불과했다.
전세는 44.0%, 보증금 있는 월세나 사글세는 32.5%로 자가보다 훨씬 많았다.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연립이나 다세대 주택이 37.0%로 가장 많았고, 단독주택이 29.7%로 그 뒤를 이었다. 일반 아파트는 14.3%에 그쳤고, 비닐하우스 등에 사는 경우도 있었다.
주택 가격은 평균 8579만 원 수준이었다. 5000만 원 미만이 48.9%로 가장 많았고, 5000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이 27.7%, 1억 원 이상 3억 원 미만이 20.0% 등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10억 원 이상은 극히 드물어 0.6%에 불과했다.
또 거주 기간은 2년 미만이 32.9%, 2년 이상 4년 미만이 32.1% 등으로 대부분이 한 곳에 정착하기보다 자주 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영주 귀국 독립유공자 유족은 자가 비율이 20% 미만이고 보훈복지타운 등 무상주택 입주 비율도 4% 이하로 나타나 거주문제 해결이 우선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전체 조사자 중 경제활동인구는 59.3%, 비경제활동인구는 40.1%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인구의 48.6%는 임금 근로자였으며, 구직 희망자 또는 실업자는 5.5%였다.
단순 노무 종사자가 46.6%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종사자가 19.3%, 각종 기능 종사자가 7.4%로 뒤를 이었다.
연간 가계소득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평균 금액은 1682만6300원이었고, 1년 후 소득 변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48.2%에 달했다.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6.1%에 그쳤다.
평균 자산은 6516만1200원, 부채는 4674만9300원이었다.
후손들은 귀국 직후 가장 힘들었던 점에 대해선 47.6%가 '주택·의료 지원 등 복지 부족으로 정착 초기 불안정'을, 32.5%가 '취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경제적 곤란'을 각각 꼽았다.
후손들 가운데 41.8%는 몸이 아플 때 치료를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
김 의원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항한 독립운동은 국내를 비롯해 세계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됐다"며 "해외에서 거주하다 영주 귀국한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의 국내 정착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