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는 북한의 갑작스러운 연락사무소 철수 배경을 파악하느라 분주합니다.
북미 회담이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역할을 촉구하는 압박용 조치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신동규 기자입니다.
【 기자 】
북한의 연락사무소 돌연 철수는 일종의 시위 성격으로 해석됩니다.
미국과 벌이는 비핵화 협상에 진전이 없자 우리 정부가 적극적 행동에 나서도록 몰아붙인다는 것입니다.
▶ 인터뷰(☎) : 신범철 /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한국에 대한) 압박 수준이 있는 것이고 또 미국에 대해서도 상황이 바뀌었다는 것을 알리고 싶어하는 마음이 있는 것이죠.」"
북미 관계가 교착되면 그 책임을 한국 정부에 돌리고, 남북관계 진전도 중단시키는 관행적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빅딜'을 고집하는 미국을 제대로 설득하지 못한 데 대한 불만의 표시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지난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남북은 한반도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으로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에 합의했는데, 정작 미국이 받아들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홍민 /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당사국으로서 합의에 대한 이행은 안 하고 있느냐, 왜 미국이 이렇게 높은 벽을 세워놓고 협상을 결국은 결렬시키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황을 놔두었느냐」."
여기에다 북한도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으로 끌고 온 비핵화의 길이 옳았다는 점을 내부적으로 입증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입니다.
이 때문에 남북관계 경색을 불러오는 추가 강경조치를 통해, 우회적으로 미국을 압박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신동규입니다.
영상편집 : 김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