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 사진=연합뉴스 |
봄철 결혼 성수기를 맞아 축의금 지출이 늘어나는 직장인들이 한숨을 내뱉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쪼들릴 지경까지 돼 가며 축의금을 낼 수는 없으니 받아든 청첩장을 앞에 두고 고민에 빠지는 건 당연합니다.
정해진 축의금 가이드라인이라도 있으면 차라리 속이 편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못하니 상황을 따져 액수를 정하기 마련인데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하다 보면 머리가 지끈 아프기까지 합니다.
최근 한 온라인 취업포털이 직장인 1천6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결혼식 1회 참석 때 지출하는 비용은 '5만원'이 60.3%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10만원' 24.1%, '7만원' 7.8%, '3만원' 5.7%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보통은 받은 만큼 돌려주는 게 일반적입니다. 처음이라면 대부분 '친소관계'에 금액을 정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친소를 가리는 게 보통 고민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가족이나 친척, 친한 친구는 고민이 덜하다. 하지만 친하지 않은 직장 동료나 사회에서 알게 된 지인, 오랜만에 연락해 온 친구 등에게 청첩장을 받았을 때는 얼마를 해야 할지 난감합니다.
친한 정도를 따지는 게 추상적이다 보니 칼로 무를 베듯 나누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올해 초 결혼한 이모(34·청주시 가경동)씨는 직장 동료 A씨를 볼 때마다 축의금 생각이 나 씁쓸합니다.
자신은 나름 A씨와 친하다고 생각해 그의 결혼식 때 축의금 '10만원'을 냈는데 A씨로부터 돌아온 자신의 축의금은 '5만원'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씨는 "금액이 중요한 건 아니지만 이 사람에게 나는 그리 가까운 사람이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나도 모르게 거리감이 생기곤 한다"고 말했습니다.
나름 확실한 기준을 정해 놓고 축의금을 내는 직장인들에게도 말 못할 고민이 있습니다.
직장인 최모(42·청주시 율량동)씨는 안면만 있는 정도로 가끔 만나는 사이라면 3만원, 거의 매일 보다시피 하는 동료나 지인이라면 5만원으로 정해 놓고 수년째 축의금을 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주변 사람들에게 축의금으로 3만원을 내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얘기를 듣고는 자칫 상대방을 무시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축의금 기준을 5만원·10만원으로 올려 잡았습니다.
그랬더니 지출이 크게 늘어 결혼식이 몰린 달이면 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가 됐습니다.
최씨는 "축의금 얘기만 나오면 주변 사람들 모두 너무 부담스럽다는 얘기를 한다"며 "심지어는 7만원권을 만들어야 부담이 줄어들지 않겠냐는 얘기를 할 정도"라고 전했습니다.
최근에는 결혼식장 유형 또는 동행자 수에 따라 축의금 액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일반 대도시 기준 결혼식 피로연의 식대는 보통 3만원 안팎입니다. 그러나 호텔 양식은 5만원을 훌쩍 뛰어넘는 곳도 있습니다.
이런 점을 생각하지 않고 축의금을 내거나 가족까지 동반한다면 의도치 않게 '민폐' 하객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직장인 김모(36·여)씨는 "얼마 전 남편을 혼자 두고가기 뭐해서 친구 결혼식에 같이 갔는데 둘씩이나 와서 밥을 먹고 가면서 5만원을 낼 수는 없어서 10만원을 냈다"며 "신랑, 신부의 부담을 생각하면 하객으로서 당연한 배려 아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또 다른 직장인 박모(39)씨는 "결혼식에 참석해 직접 축하해주는
그는 "인생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자는 결혼식의 본래 취지가 축의금 때문에 퇴색되는 것 같다"면서도 "현실이 그러니 어쩌겠느냐"고 씁쓸해 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